스페셜
"기본자금"(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록펀딩' 받는 박사후연구원 주도 대학연구단 2곳 올해 추가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1.01.31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이공계 대학 박사후연구원에게 안정적 연구 환경을 제공하고 기업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산업계에 진출할 고급연구인재로 양성하는 사업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추진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첨단 기술혁신을 주도할 핵심인재의 역량 강화와 산업계 진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능력에 의한 평가는 과연 공정한가2021.01.14
- “사회가 정의롭다고 하는 것에 대한 질문은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들, 예를 들면 소득과 부, 의무 와 권리, 권력과 기회, 공직과 영광 등을 어떻게 분배하는지를 묻는 것이다. 정의로운 사회는 이러한 재화들을 올바른 방식으로 분배하며 개인에게 합당한 몫을 나누어준다. 하지만 누가, 왜 받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2020.09.23
- 1979년 록펠러 미팅에서 유전자은행의 설립이 논의되고 나서 이후 1982년 로스 앨러모스 연구소에 유전자은행을 설치하는 역할이 주어지기 전까지 무려 3년의 기간이 걸렸다. 미국이 주춤하던 그 시간에 유럽의 실험생물학자들이 유전자은행의 설립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유럽의 EMBL은 유전자 염기서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2020.09.10
- 월터 고드의 모습. 로스 앨러모스 국립 연구소 제공 “제 생각에 인간게놈 프로젝트의 뿌리는 유전자은행인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유전자은행이야말로 모든 사람에게 유전체계획의 최종산물이 결국은 모두가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라는걸 알게 해줬으니까요.” -엘크 조단,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기초과학 발전의 기구한 역사2019.11.07
- 대학과 정부출연연구소의 갈등 그리고 노벨상 1975년, 한국 엔지니어회관 개관기념 리셉션에서 기념케이크를 자르는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와 최형섭 과학기술처장관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과학기술처 장관 5년째로 접어들어 나는 그만두기 전에 기초연구를 강화하는 방안, 특히 대학의 연구를 ... ...
- "내가 이러려고 돈 벌었나? 자괴감 들지 않으려면..."2016.12.21
-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연말정산을 신경 쓸 시기다. 사전에 절세방안에 대한 준비가 없으면 환급금이 생길 수 있는 경우에도 납부를 해야 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국납세자연맹에서는 내년 예상 세금 계산을 ... ...
- 싱글족을 위한 재테크 포인트2016.10.21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부자 되는 습관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것이 말처럼 쉽지는 않다. 필자의 고향 지인 중 한 명은 일을 끝낸 후 항상 친구들과 당구나 PC게임을 하는 것으로 시간을 보내고 술을 마시고 집에 가는 것이 보 ... ...
- 사회초년생의 재테크는 따로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결혼 전 20대~30대 직장인의 재테크 기본은 돈의 관리에 있다. 식상한 이야기일지 모르지만 기본적으로 소득에서 무조건 50% 이상 저축한다는 자세가 중요하다. 갑자기 늘어난 수입으로 인해 자칫 소 ... ...
- '과학기술인 협동조합'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9.12
- *본 콘텐츠는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발행한 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2012년 12월 1일 '협동조합기본법'의 발효로 우리나라에도 본격적으로 협동조합이 모습을 드러냈다. 협동조합의 인기는 급격히 커져 법 시행 4년여 만에 전국적으로 5천여 개가 넘는 협동조합이 생겨 ... ...
- [타운이 만난 사람-멘티편] 창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집단지성에 있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8.25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사업에는 정도(正道)가 없다고 하죠. 그래서일까요, 창업에 성공하신 분들의 면면은 무척이나 다양합니다. 다만 한 가지 공통점은 눈에 띄는데요, 바로 ‘경험’이죠. 창업에 성공한 분들은 실패의 쓰라린 경험을 안고 계신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한 실패를 끝이 아닌 ... ...
이전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