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가
전문가
선각자
명수
태두
대지도자
지도적인 인물
스페셜
"
권위자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자기조립 나노물질로 항암치료 신기원 연다
IBS
l
2014.11.13
이용한 약물 및 유전자 전달 분야를 공부하고 연구했다. 김성완 교수는 이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로 알려져 있다. 재료에서부터 약물 전달체까지 고분자의 다양한 분야를 섭렵한 김원종 교수는 IBS 연구단에서는 재료 과학 측면에서 고효율의 항암치료에 도전하고 있다. 암세포 주위는 혈관이 ... ...
세계에서 활약하는 한국의 과학기술자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05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는 탄소 계열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 연구의 세계적인
권위자
다.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은 안드레 가임 경(Sir Andre Geim)과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경(Sir Konstantin Novoselov)이 공동 수상했다. 김 교수는 이들에 이어 세계 3번째로 그래핀의 존재를 발견했으며 실험으로 확증한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에 융합 분야로 분류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유전체교정 분야의
권위자
로 알려져 있는 김 단장으로부터 이 분야의 연구현황, 연구단의 성과, 사업화 가능성에 대해 들어봤다. 그는 미국 위스콘신-메디슨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국내에서 툴젠(ToolGen, Inc.)이란 생명공학 벤처를 ... ...
"나노기술은 타 분야와 오케스트라처럼 협연해야 빛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실리고 1200번 이상 인용될 만큼 획기적인 연구로 인정받으며 나노기술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
로 발돋움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는 여러 과학자들로부터 “균일한 나노 입자를 많이 만들어 무엇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을 받으며 고민에 빠졌다. 고민 끝에 내린 답은 나노기술을 의학에 ... ...
인기 좋은 팔방미인의 비결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네트워킹이 빛을 발하는 순간 중 하나다. 물리학을 전공한 신 회장은 진공기술의
권위자
로 통한다. 흥미로운 것은 신 회장의 주 전공인 이 진공기술이야말로 관련 분야가 다양한 복합기술이라는 것. 신 회장에 따르면 진공기술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우주 발사체 개발, 가속기, 핵융합, 나노기술 등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마련과 직결됩니다. 9개월 동안의 끈질긴 설득 끝에 모신 식물 분자유전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인 남홍길 교수는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기초연구단사업에 선정돼 1년간 100억원의 연구비를 10년 동안 지원받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지금도 정부와 민간기업으로부터 자금 유치를 위해 박차를 가하고 ... ...
KAIST Presidential Fellowship_장학생 김세엽 학생 인터뷰
KAIST
l
2013.05.03
에너지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을 만드는 것입니다. 태양전지의
권위자
가 되어 다른 신에너지를 연구하는 분들과 함께 연구하여 그러한 꿈을 이루고 싶습니다. Q. 대학생활에서 가장 해 보고 싶은 것은 무엇인가요? 그동안 공부를 많이 해서 취미생활을 깊게 해보지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신약 개발에 혁신 가져오다 김성호 교수는 단백질 구조를 보는 ‘구조생물학’ 분야의
권위자
다. 1970년 세포 내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을 운반하는 생체물질(tRNA)의 3차원 구조를 처음으로 확인해 영문 교과서에 ‘Courtesy of S.H.Kim’라는 이름을 올린 인물이다. 1988년에는 암의 원인이 되는 주요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것입니다.” 이 같은 생각은 미국 생활을 할 때 확고해졌다. 지금은 국내 지식재산 분야
권위자
로 알려져 있는 그도 사실은 전자공학도였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다니다가 1979년 미국 MIT로 전학을 갔다. 유학 중 그는 미국사회가 연구개발(R&D)성과를 지식재산으로 사업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 ...
“BT는 ‘버티기’의 줄임말…대기업이 힘 실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3.07
신약개발에 필수적인 활성형 단백질을 RNA로 만드는 기술 특허를 내 신약 개발 분야
권위자
로 통한다. ●신약 개발에는 대기업의 꾸준한 지원이 중요 성 교수는 최근 대기업들이 바이오산업과 신약 개발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에 대해 “다행스러운 일이지만 여전히 염려스럽다”고 말했다. 1980~199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