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표면
바깥
외부
외면
얼굴
낯
밖
스페셜
"
겉
"(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에서 온 운석, 높은 연구 가치로서 운석 판별법
KISTI
l
2014.03.24
껍질처럼 1mm이하의 매우 얇은 두께라는 것이다. 따라서 진주 운석처럼 석질운석은
겉
과 속이 다른 색으로 되어 있으며 만약 속까지 검은 돌이라면 철운석이 아닌 이상 운석이 아니다. 다음 특징은 철운석뿐 아니라 석질운석의 경우에도 철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자석에 반응을 ... ...
[keyword로 읽는 과학] 소시오패스, 누구냐 넌?
KISTI
l
2014.02.14
것으로 나타난 연구 결과가 있다. 인간의 두뇌에서 회색질은 신경 세포들이 밀집돼 있는
겉
부분이고, 백질은 신경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신경 섬유망이 깔려 있는 속 부분이다. 신경과학적으로 보면 소시오패스는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전전두피질의 신경세포가 적어 도덕적인 판단을 잘 하지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
KISTI
l
2014.01.06
Equus ferus przewalskii)’이고 가축화된 말은 ‘에쿠스 페루스 카발루스(Equus ferus caballus)’다.
겉
모습이 꽤 차이가 남에도 한 종으로 묶은 건 프르제발스키 말과 (가축화된) 말 사이에 생식력이 있는 새끼가 태어나기 때문이다. 반면 당나귀와 말 사이에서는 생식력이 없는 새끼(노새나 버새)가 태어나 ... ...
곰이 북극에서 살아남는 비법
KISTI
l
2013.12.10
새끼를 낳는데, 공기가 통할 수 있는 작은 구멍만 남기고 굴을 눈으로 덮어버리기 때문에
겉
에서 보면 굴이 어디에 있는지 찾기가 쉽지 않다. 북극곰은 짝짓기 할 때와 암컷이 새끼를 기를 때를 제외하고는 일생의 대부분을 고독하게 혼자 보낸다. 최근 북극곰들이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으로 수난을 ... ...
복잡한 세상, 수학적 원리를 따르는가?
KOITA
l
2013.10.18
상관관계만으로 인과관계를 잘못 파악한 탓에 낭패를 보는 일은 숱하게 많기 때문이다.
겉
으로 보이는 상호관계가 아니라 물리적인 실체를 다루고 설계하는 과학자와 엔지니어라면 더더욱. * 본 콘텐츠는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의 온라인 뉴스레터 KOITA IN 21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
지금은 규석기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3.08.19
반도체는 어떻게 생겼을까? 흔히들 기기 속 검정색 전자부품을 반도체라 부른다. 하지만
겉
으로 보이는 것은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한 플라스틱 패키지(덮개)일 뿐 진짜 반도체는 플라스틱 패키지(덮개)를 벗겨야 보인다. 패키지마다 보통 하나의 반도체를 쓰지만, 필요에 따라 여러 종류의 반도체를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지상에서도 충분히 실용적인 사용이 가능한 수준에 이른 것이다. 이미 유기태양전지를
겉
면에 씌워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지 않은 텐트나 전원공급이 필요없는 태양전지 가로등이 시판되는 세상이다. 클라크와 지글러는 집과 건물을 태양전지가 뒤덮어서 생활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상상을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
KOITA
l
2013.07.10
언뜻 시대적 배경의 차이로 보인다. 패션을 여성에게 국한된 무언가로 이해한 19세기와
겉
모습이 그 사람의 성실도와 삶의 자세를 대변한다는 인식이 팽배한 21세기. 그러나 사정을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웨어러블 기기를 둘러싼 논의의 중심에는 언제나 ‘기술’이 있었다. 19세기의 ... ...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쇳덩어리를 메고 있었다. 새로 개발한 잠수장비를 시험하기 위해서였다. 잠수부의
겉
모습은 우스꽝스러웠지만 인간의 바다 진출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날이었다. 기계에 연결된 고무호스를 마스크에 연결하고 수평 자세로만 헤엄쳐야 했던 기존의 방식을 벗어나 공기탱크를 등에 지고 물속에서 어떤 ... ...
“육종센터, 전경이 24시간 지키는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0.02.23
양식하는 수산 자원을 육종하기 때문에 신경 써야 할 일이 많다. 식품안전은 물론
겉
보기에 인공적인 요소가 들어가면 색안경을 끼고 보는 경우가 많아 가능한 자연 그대로의 교배를 시키고 키운다. 무조건 빨리 키우거나 새로운 형질을 만드는 것이 능사는 아니라는 의미다. 임 원장은 “장기적으로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