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감
스페셜
"
감축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사업을 진행한다면 남북합의를 기반으로 남한 국가
감축
목표(NDC)의 11.5~27.8%, 북한 국가
감축
목표의 29.2~70.5% 정도 달성할 수 있다며 북한 REDD+의 잠재력을 강조한 바 있다. 기후위기의 시대, 남과 북이 함께 한반도의 산림을 복구하고 가꿔야 할 때다. 남과 북이 함께 살아갈 한반도를 위해 남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
2023.02.07
사료 전환 효율이 높아지면서 고깃값이 떨어져 사람들이 고기를 더 먹게 되면서
감축
효과가 일부 상쇄되는 문제다. 별걱정을 다한다 싶지만, 전기 전환 효율이 높은 LED 조명으로 바뀌면서 조명 설치가 급증해 빛공해가 심해진 걸 보면 그럴 것 같기도 하다. 그런데 ‘식량’ 시나리오처럼 인류가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바라보는 시각에서 생기는 오해이다. 기후변화협약은 탄소 배출 감소와 흡수가 동등한
감축
효과를 가진다고 인정하고 있으며, 파리협정은 탄소 배출과 흡수의 균형을 맞추는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두고 있다. 특히, 보다 적극적인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역배출의 수단으로 흡수원이 강조되고 ... ...
[탄소중립 최전선] ⑤전세계 기술실증·탄소저장 프로젝트 급증...한국은 시작도 못해
2022.10.26
R&D) 꾸준히 이어가야 연구실 단위에서 개발한 기술에 대한 실증과 함께 실제로 탄소
감축
을 위한 탄소 저장처를 확보해야 하는 과제도 놓여 있다. 박영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포집과 저장 기술은 정부지원을 통해 국내 고유 기술이 실증할 수 있는 수준까지 ... ...
[탄소중립 최전선] ①꿈틀대는 탄소저장 비즈니스...척박한 환경을 '기회'로
동아사이언스
l
2022.10.17
‘0’으로 만드는 탄소중립 구현을 위해 2030년까지 2018년 탄소 총배출량 대비 40%
감축
목표를 제시했다. 이같은 목표를 현실화하려면 탄소 배출을 줄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배출된 탄소를 포집하고 저장하는 과학기술 연구와 구체적인 실행전략이 필요하다. 버구르 시그푸손 카브픽스 CO2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계약학과는 산업계 인력난을 해결해주지 않는다
2022.07.20
만들어낸 변칙일 수도 있다. 학령인구가 줄어들더라도 산업인력을 양성하는 학과의 정원
감축
은 인정하지 못하는 학과가 있는 것은 사실이다. 대학의 내부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국무회의의 안건이 되어버린 현실은 정상을 벗어난 것이다. 기업의 현실도 만만치 않다. 국민 경제에 기여해야 할 ... ...
[이덕환의 과학세상]점점 심각해지는 기상이변, 탄소중립만으로 해결될까?
2022.07.06
중심으로 하는 진보 세력의 입장이 격하게 충돌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을 위한 미국 환경보호청(EPA)의 적극적인 화석연료 사용 제한이 연방정부의 과도한 규제라는 미국 대법원의 판결도 있었다. 유럽 주도의 탄소중립 노력에 대한 미국 사회의 입장이 여전히 혼란스러운 ... ...
음식물과 농장 쓰레기가 항공업계 탄소
감축
근심 해결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7.04
코로나19) 확산 기세가 꺾이며 항공 수요 증가가 예상되면서 항공업계의 탄소
감축
압박은 더욱 거세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만 해도 매년 210억갤런의 항공유를 소모하는데 이번 세기 중반까지 그 양이 배로 증가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온난화가 시대적 화두로 떠오른 ... ...
이산화탄소 지하암반에 묻어도 '이 조건'이면 지진 유발 가능성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위해 사암을 단층 형태로 절단하고 있다. 사이언티픽리포트 제공 최근 각국이 탄소
감축
을 위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땅에 저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런 지층 방식이 '인공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등 3개국 연구자들이 ... ...
"온실가스 안 줄이면 금세기말 극한 강수량 최대 78% 증가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2.06.14
배출을 지속할 경우의 고탄소 시나리오, 화석연료 사용을 최소화하고 탄소 배출량을
감축
하는 저탄소 시나리오로 나눠 진행됐다. 2000~2019년 대비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 변화율을 따졌다. 그 결과 고탄소 시나리오의 경우 100년 재현빈도 극한 강수량이 21세기 전반기(2021~2040년)에는 2000~201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