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러
종류
여러가지
스페셜
"
각종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경로를 재구성했다. 이와 함게 얌나야족의 유전자와 현대 유럽인의 유전자를 비교해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유전자 변이가 언제 등장했는지 살폈다. 현대인의 유전자 정보는 영국 바이오뱅크에 등록된 43만3395명의 유전자 정보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 얌나야족은 5000년 전 유라시아 평야 ... ...
[사이언스게시판] KAIST, KSA 학생 4명 '2023 대한민국 인재상'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가운데 2023년 UST의 주요 운영 성과와 2024년 업무계획을 보고받고 안건 심의·의결 및
각종
이슈에 대해 협의했다. 이번 의결을 통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부설 기관인 국가녹색기술연구소가 2025학년도 1학기부터 UST 학사운영에 참여하게 됐다. KIST스쿨 주관 ‘에너지-환경융합전공’ 내 ‘(가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가 떠오른다. 이동을 할 수 없는 식물은 자기방어를 위해
각종
독성물질 대다수를 인류가 진화하기 훨씬 전 발명해 요긴하게 써왔다. 사람 역시 식물이 만든 독을 일정 수준 이상 섭취하면 탈이 나고 심하면 목숨을 잃기도 한다. 식물을 먹이로 삼는 초식동물은 물론 분류상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플레밍(Alexander Fleming)은 미생물 연구를 하다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패혈증 등
각종
감염병으로 생명의 위협을 받는 부상병을 대하면서 감염질환 해결에 투신하기로 결심했다. 1918년에 세인트매리병원으로 돌아간 그는 1922년에 사람의 몸에서 분비되어 세균을 용해시킬 수 있는 리소자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
2023.12.02
많이 생기다 보니 직장에서 난데없이 ‘가족’과 같은 끈끈함을 찾는 데서 오는
각종
오지랖과 요청하지 않은 조언, 알고 싶지 않은 사생활 이야기 등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많이 줄어들었음을 느낀다. 경계를 흐리는 일 없이 일은 일로, 사적인 영역은 사적인 채로 간직할 수 있어서 괜히 혼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네이처 제공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에 형형색색의 나무를 모아둔 것 같은 심근(심장근육) 속 미오신 필라멘트의 한 조각을 실었 ... 관할하는 미오신필라멘트의 구조를 파악한 이번 연구 결과가 심장 근육이 유발하는
각종
심장 질환을 연구하는 토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뇌수술, 돌로 만든 기구로 시작됐다
2023.11.19
기능부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하는 정위기능신경외과학의 등장 기능신경외과학은
각종
기능성 신경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신경조직을 파괴하거나 약물 주입, 물리적 자극 등을 통해 신경계의 기능을 변환시킴으로써 치료효과를 얻는 과정을 연구하는 신경외과의 한 분야다. 기능신경외과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탄력을 유지한다. 피부 맨 바깥층인 표피는 두께가 0.1~0.2㎜에 불과하지만, 외부의
각종
위협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고 있다. 표피와 진피를 구분할 수 있는 가장 뚜렷한 지표는 모세혈관 존재 여부로 표피에는 모세혈관이 없다. 표피는 다시 네 개 층으로 나뉘는데 진피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로 개구리·도룡뇽 살 곳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14
37%가 손실되면서 양서류의 생존 기반이 약화됐다고 보고했다. 현재 이뤄지고 있는
각종
생태 보존 노력을 통해 멸종 위기에 처했던 일부 종에서 회생의 기미가 보이곤 있긴 하지만, 좀 더 큰 규모의 투자가 빠르게 이뤄져야 현재의 멸종 흐름을 뒤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오랜 이론 무색한 '기후 위기' 우려
2023.09.16
더 많이 생각하게 되고 쉽게 떠오르는 만큼 이를 ‘사실’로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각종
미디어에서 기후 위기에 대한 언급이 많아진 것이나 직접 체감하게 된 빈도가 늘어난 것이 기후 위기를 더 현실로 느끼게 했을지도 모르겠다. 연구자들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현실을 직면하고 분노와 절망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