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스페셜
"
가설
"(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의적인 저녁형 vs 공부 잘하는 아침형, 당신은?
KISTI
l
2015.09.29
똑똑한 사람일수록 더 늦게까지 깨어있도록 발달했다고 분석했다. 사바나 IQ 상호작용
가설
은 인류의 진화에 있어 지능이 높은 개인이 지능이 낮은 개인보다 새로운 상황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데 더 능숙했기 때문에 지능이 높은 인류가 진화를 이끈다는 내용이다. 스페인의 마드리드대학 심리학과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다른 입자로 바뀌어 사라졌기 때문이라고 해석하는 편이 자연스러웠다. 페체이-퀸
가설
은 나오자마자 증명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진 것이다. 하지만 1979년 김 교수가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액시온의 수명이 우주의 나이보다 긴 1049초로 아주 길 가능성을 제시했다. 바로 '보이지 않는 액시온'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남았다. - Arne Nordmann 제공 진공의 부활 마이컬슨과 몰리의 실험에서 가장 중요한
가설
인 에테르의 흐름을 나타낸 그림. 우주공간이 빛의 매질인 에테르로 가득 차 있다면 지구가 태양을 공전하는 동안 빛의 속도가 다르게 측정되어야 한다. 매질의 흐름과 지구의 진행방향이 시시각각 변하기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유력하다는 사실이 드러나 관련 연구가 활발하게 이어졌다. 액시온은 한국인이 그
가설
을 세우고 이론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한국 과학계에는 각별한 의미가 있기도 하다.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도 2년 전부터 ‘액시온 및 극한상호작용 연구단’을 설립하여 관련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없을 수 있다는 관측 데이터가 나왔다. 따라서 로제타호의 관측 결과가 우리의 이런
가설
을 미궁에 빠지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년간 로제타호는 혜성과 태양계 초기의 환경에 관한 비밀을 풀 수 있는 암호들을 보내올 것이다. 로제타석의 암호를 풀듯 이를 어떻게 해석해 나갈 지는 우리의 ... ...
[기술이 바꾼 미래] 밤을 낮으로 바꾼 전등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04.29
발명한 뒤 8년 만의 일이므로 매우 빨리 조선에 상륙했다. 이 시설은 에디슨전등회사가
가설
했는데 16촉짜리 전등 750개를 킬 수 있었고 1894년 창덕궁에 설치되었을 때 발전용량은 경복궁 시설보다 세 배나 컸다. 이 전등에는 많은 별명이 붙었는데 툭하면 꺼지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게 꼭 건달을 ... ...
잊을만하면 찾아오는 조류독감, 그 이유는?
KISTI
l
2014.02.04
것일까? 사람들이 주목하는 것은 해당 원인이 인구의 갑작스런 증가와 밀집에 있다는
가설
이다. 9세기에 걸쳐 13세기에 이르는 400여 년간, 서구 유럽의 인구는 이전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했고, 인구의 증가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도시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도시는 많은 물자들이 교환되고 ... ...
인체 장기의 '네트워크'를 자극하는 스트레칭과 침술
동아사이언스
l
2013.07.04
긴장을 풀어주거나 통증을 억제하는 특정 물질을 만들어내는 일에 중요하게 관여한다는
가설
을 도출했다. 흥미롭게도 랑제빈은 피부 경혈 부위에 침을 꽂아 결합조직에 미치는 실험을 초음파 영상장비를 통해 진행했다. 그 결과 섬유세포의 모습이 역시 평평하게 확대됐다고 밝혔다. 랑제빈은 ... ...
새로운 혁신 패러다임: 사용자 주도형 혁신의 도래
KOITA
l
2013.07.02
파악하는 장소를 리빙 랩으로 정의했다. 연구자가 사용자를 관찰하고 실험을 통해
가설
을 검증하는 공간으로 리빙 랩을 설정한 것이다. 이러한 개념은 도시 거주자가 도시 계획과 설계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MIT는 2004년 아파트를 지정해서 거주자들의 행동을 ... ...
참가자가 직접 들려주는 Wellman center 인턴십 이야기
KAIST
l
2013.06.19
파악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여러
가설
중 생체 내부의 산소농도구매에 따른 이동
가설
검증을 위해 산소농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을 세포에 표시하여 산소 탐지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김성윤 학생은 시스템 제작과정 중 세포 표면을 변형시켜 형광물질로 표시하는 연구에 참여하였다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