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신
기계
머쉰
뉴스
"
machine
"(으)로 총 50건 검색되었습니다.
생성형AI의 의학·과학 습격...'전문가' 인간은 살아남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7.17
전반에서 활용되는 AI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14일(현지시간) '기계 지능 세계(A
Machine
-Intelligent World)'라는 제목의 '특집(스페셜 이슈)'을 통해 최신 AI기술 전반을 조망하는 9편의 논문을 무더기로 공개했다. 이 중 일부는 의료계 전반에서의 AI 활용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분석을 담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의 도전과 한계
동아사이언스
l
2023.07.16
리뷰 등 9편을 '스페셜 이슈'로 발행했다. 표지에는 AI라는 거대한 단어와 함께 ‘A
MACHINE
-INTELLIGENT WORLD(기계 지능 세계)’라는 문구가 함께 있다. 챗GPT와 같은 생성형AI 등장과 기술 혁신으로 AI가 인간을 대체할지, 인간의 한계를 보완해 줄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사이언스는 현재 AI가 활발히 ... ...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기 위한 여정 '프로그래밍'
과학동아
l
2023.06.06
프로그래밍 언어는 컴퓨터에게만 편한 언어였다. 1세대 프로그래밍언어는 ‘기계 언어(
machine
language)’라 불린다. 2진수 형태로 0과 1로 표현하는 언어였다. 이 언어는 컴퓨터가 직접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다. 물론 컴퓨터가 실제 숫자를 이해하는 것은 아니다. 0과 1은 전기 신호의 있고 없음을 ... ...
사람이 들어 있는 ATM
팝뉴스
l
2022.12.05
제공 출금과 입금을 할 수 있는 기계가 ATM이다. ATM의 끝글자가
machine
을 줄인 것이니까 ATM은 분명히 사람이 아니라 기계여야 한다. 그런데 사진 속 ATM은 기본 정의를 위배한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사람 손이 돈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기계 너머의 저 사람은 누구일까. 신뢰해도 될까. 사진은 ... ...
뇌 '기억 중추' 해마, 어른 되어도 손상 복구 가능할까
연합뉴스
l
2022.07.22
교수팀은 단핵 RNA 시퀀싱(single-nucleus RNA sequencing)과 AI(인공지능)의 한 유형인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 기술로 이 난관을 극복했다. 먼저 단핵 RNA 시퀀싱으로 인간과 생쥐의 해마 뉴런에 대한 개별 유전자 정보를 파악한 뒤 방대한 데이터세트를 AI로 검색해 성숙 뉴런과 미성숙 뉴런의 미세한 ... ...
"치매 진단 AI 개발…정확도 92%"
연합뉴스
l
2021.12.20
교수 연구팀은 2년 안에 치매 발생 위험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machine
learning algorithm)을 개발했다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8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2005~2015년 미국 전국 알츠하이머병 관리 센터(National Alzheimer's Coordinating Center)의 30개 메모리 클리닉에 등록된 1만5천여 ... ...
모빌리티로 확대되는 로봇기술들
동아사이언스
l
2021.11.08
준비 중이다. 헬로 로봇, 인간과 기계 그리고 디자인(Hello, Robot. Design between Human and
Machine
) 전시회 전경 ○ 로봇 기술 확보에 몰리는 기업들 자동차 회사중 현대차만 로봇에 주목하는 것은 아니다. 이미 해외 다른 완성차 회사들도 로봇 기술 확보 경쟁에 나서고 있다. 일본 도요타와 혼다도 일상 ... ...
T세포 식별 '암세포 항원' 찾기, 항암 면역 난제 AI로 풀었다
연합뉴스
l
2021.09.28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지난 23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 머신 인텔리전스(Nature
Machine
Intelligence)'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실렸다. 생쥐 림프절에 상주하는 종양 특이(tumor-specific) 기억 T세포(흰색)의 전자현미경 이미지. 다른 T세포보다 오래 사는 이들 T세포는 림프절에서 흑색종의 전이를 막는 ... ...
미 로봇 스스로 학습해 두발로 5km 달리기 성공…세계 최초
연합뉴스
l
2021.08.09
오리건 주립대학교 연구진이 개발한 이족 보행 로봇 '캐시'(Cassie)가 최근 머신 러닝(
Machine
Learning)을 통해 자갈길과 인도, 들판 등 5㎞ 거리를 53분 만에 완주했다. 머신러닝은 사람이 학습하듯 입력된 데이터들을 이용해 스스로 배우는 인공지능 기술로, 캐시는 이 기술을 이용한 첫 2족 보행 ... ...
가려움 강도 측정하는 휴대용 센서 개발
연합뉴스
l
2021.05.03
등을 사용하는 모든 형태의 긁는 동작을 포착할 수 있다. 그러나 기계학습 알고리즘(
machine
learning algorithms)을 통해 손으로 긁는 동작만을 잡아낸다. 손을 흔드는 제스처 같은 유사 동작에는 속지 않는다. 이 센서는 가려운 곳을 긁는 손의 저주파와 고주파 진동을 감지해 그 강도를 정량화하기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