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사이
틈
거리
여유
트집
틈바구니
뉴스
"
틈새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인이 먹는 음식 중 빵이 금지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4
날릴 수 있는 음식은 가져갈 수 없게 됐습니다. 아주 작은 부스러기라도 우주선의
틈새
에 들어가면 우주선이 고장 날 수 있기 때문인데 정 샌드위치를 먹고 싶다면 얇은 토르티야 위에 재료를 올리고 접어 먹어야 합니다. (왼쪽부터)아스파라거스가 포장된 진공팩에 정수기로 물을 넣고 있다, ... ...
물고기에게 잡아먹혀도 아가미로 탈출하는 뱀장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9.10
데까지 성공했다. 탈출한 뱀장어들의 평균 탈출 시간은 56초였다. 강바닥의 좁은
틈새
에 잘 들어가도록 설계된 뱀장어의 가늘고 긴 근육질 몸이 탈출에 도움이 된 것으로 분석됐다. 또 많은 육식성 어류는 먹이를 머리부터 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뱀장어는 긴 몸 덕분에 삼켜질 때 꼬리가 식도에 ... ...
[과기원NOW] KAIST, 청소기·헤어드라이어 소음 줄이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전원주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틈새
나 개구부로 열 교환 및 공기 흐름은 자유롭게 이뤄지면서 소음은 차단되는 ‘복소 임피던스 타일’을 개발했다. 음향 임피던스를 원하는 복소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는 신개념 음향 메타물질이다. 음향 ... ...
기후위기가 가져온 나비효과…홍수·가뭄이 지진 일으킨다
과학동아
l
2024.07.13
반도에서 관측된 지진파 속도와 비교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값이 실제와 같다면 지하
틈새
에 유체가 채워져 공극압이 높을 땐 지진파의 속도가 느려지고 유체가 적어 공극압이 낮을 땐 지진파의 속도가 빨라질 테니 말이죠. 결과는 어땠을까요. 시뮬레이션한 값은 정확하게 지진파 속도와 음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틈새
에 액체 금속·셀룰로오스 넣어 강력해진 나노필름
동아사이언스
l
2024.07.07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종잇장처럼 얇은 층이 여러 겹 쌓인 모습이 실렸다. 층 사이에 보이는 빈 공간에는 접착제 같은 물질이 들어가 있다. '맥신(MXene)' 나노시트는 2차원 구조의 나노 재료로 기계적·전기적 특성이 뛰어나 전자장치나 항공우주 분야에 유망한 소재지 ... ...
잡아당겨도 고해상도 유지하는 OLED 디스플레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OLED로 덮었다. 선이 있던 영역을 덮은 것이다. 이렇게 만든 디스플레이를 늘리자 전에
틈새
에 접혀있던 OLED가 모습을 드러내며 높은 발광 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번에 개발된 디스플레이는 늘리기 전 97%에 달하는 발광 면적비가 양쪽에서 30%씩 잡아당긴 후에도 87%로 감소하는 데 그쳤다. ... ...
'도청 차단' 양자 통신 위한 신개념 단일 광자 발생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7
발생시켰다. 단일 광자는 금 나노입자의 꼭짓점에서 진동하면서 나노입자 표면의 작은
틈새
인 나노갭 주위에 유도 전류를 만들었다. 꼭짓점에서는 원형 편광된 광자가 방출됐다. 소재필 연구원은 "금 입자가 아주 작은 전기회로처럼 작용하면서 단일 광자의 전기장과 자기장 사이의 위상 차이를 ... ...
리튬배터리 에너지밀도 극대화하는 3차원 구조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다공성 구조체를 개발했다. 배터리 속 리튬 이온은 연구팀이 개발한 다공성 구조체
틈새
로 이동하며 배터리를 급속으로 충전하는 상황에서도 리튬 금속 음극에 균일하게 증착됐다. 구조체가 적용된 배터리는 200주기 이상 충·방전을 반복한 후에도 높은 안정성을 보였다. 또 연구팀은 "실험실 ... ...
좁은
틈새
물 분자가 움직임 멈추는 '1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감소의 영향도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형렬 교수는 "물을 채운
틈새
가 1나노미터보다도 더 좁아졌을 때 물의 '초이온 상태(superionic phase)'를 관찰하는 등 2차원 형태의 물 연구로 확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과학동아
l
2024.03.16
발견이 우리를 놀라게 할까요. 알고 있던 세계가 깨진다는 건 즐거운 일입니다. 깨진
틈새
로 더 넓은 세계가 드러날 테니까요.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호,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