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깐
잠시
뉴스
"
짧은시간
"(으)로 총 1,157건 검색되었습니다.
1초도 안되는 찰나에 암세포 파괴…삼성서울병원, 양성자 치료 핵심 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삼성서울병원 양성자치료기. 삼성서울병원 제공 삼성서울병원이 방사선 치료 속도와 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플래시(FLASH)’ 기반 양성자 치료 상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섰다. 초고속·고선량 조건에서도 안전성과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는 측정 기술을 완성하며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인 ... ...
9분간 고강도 운동, 아이들 언어 이해력 높여…"학교, 쉬는 시간 늘려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고강도 인터벌 운동이 아이들의 언어 인지 능력을 끌어올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지난 3월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2025년 ‘국민건강통계플러스’ 첫 요약통계에 따르면 해외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146개 국가 중 가장 낮았다. 고등학생의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똑똑한 것 같지만 지혜롭지는 않은 사람들
2025.08.02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어떤 사람에 대해 '똑똑하지만 지혜롭지는 않다'는 생각을 하게 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눈치가 빠르고 자신의 이익을 매우 잘 챙기지만 장기적인 비전이 없다거나, 단기적으로는 이득이지만 장기적으로는 해로울 수 있는 결정을 내리는 사람을 볼 때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 ...
AI로 '쓰레기 DNA' 분석해 질병 단서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쇼트스탑을 개발한 브렌든 밀러(왼쪽) 미국 살크생물학연구소 연구원과 앨런 사가텔리안 교수. 쇼트스탑은 그들 옆에 놓인 컴퓨터에서 실행된다. Salk Institute 제공. 질병의 원인이 되는 마이크로단백질을 찾는 새로운 인공지능(AI) 도구가 개발됐다. 질병에 관여하는 마이크로단백질 탐지 시간과 비 ... ...
공작새 깃털로 레이저 만들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공작의 꼬리 깃털은 색소 없이도 표면의 미세구조를 통해 선명한 파란색과 녹색 등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공작 깃털 표면 구조를 활용해 레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공작은 수컷의 화려한 꼬리 깃털이 특징이다. 과학자들이 공작 꼬리 깃털 표면의 미세구 ... ...
납 원자핵이 금 원자핵으로…LHC에서 실현된 영겁의 연금술
2025.07.26
Midjourney, 과학동아 제공 2025년 5월 7일 국제 학술지 ‘Physical Review C'에 게재된 한 논문이 순식간에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유는 간단했다. 바로 금(Au)이다. 이 논문은 유럽핵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충돌기(LHC)에서 납(Pb) 원자핵들을 가속 충돌시키는 실험 도중 납 원자핵이 아주 짧은 ... ...
열매껍질로 만든 소재, 고성능 에너지 저장장치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김원배 포스텍 교수. 포스텍 제공. 버려지는 식물 열매껍질을 이용해 효율적인 에너지 저장장치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친환경 에너지 저장기술에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된다. 김원배 포스텍(POSTECH) 화학공학과·배터리공학과 교수팀은 완두콩 껍질과 꽃식물인 '피테켈로비움 둘체 ... ...
"금, 녹는점 14배 온도서 고체상태 유지"…이론 한계 넘어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7.25
금속 원소인 금(Au)의 녹는점은 섭씨 1063도다. 금이나 은을 포함한 일부 고체 물질은 가열 방법에 따라 알려진 녹는점을 넘어서도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과가열(Superheating)' 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연구팀이 고체 금(Au)을 녹는점보다 약 14배 높은 온도까지 가열하고 매우 ... ...
술에 약물 타는 '퐁당 마약' 범죄 '꼼짝마'…1초 이내 감지하는 문신 스티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3
GHB가 닿으면 노란색이 붉은색으로 변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술이나 음료에 약물을 몰래 타서 먹이는 일명 '퐁당 마약' 범죄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고경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권오석 성균관대 교수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술에 섞인 마취 약물 GHB(y-하이 ... ...
열대야에 무너지는 수면 리듬…카페인·알코올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열대야를 표현한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열대야가 이어지는 여름철, 밤잠을 설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기온이 쉽게 내려가지 않는 밤은 몸의 생체리듬을 흐트러뜨리고 깊은 수면을 방해해 만성적인 피로와 건강 악화를 유발할 수 있다. 전문가들은 수면 위생 관리와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여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