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터
쎈타
쎈터
지점
시설[지구]
상점가
뉴스
"
중심부
"(으)로 총 31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망원경 '유클리드', 희귀 우주현상 '아인슈타인 고리'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10분의 1이 이번처럼 깔끔한 아인슈타인 고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GC 6505 은하
중심부
주변으로 '아인슈타인의 고리'가 관찰된다. ESA/Euclid/Euclid Consortium/NASA/J.-C. Cuillandre, T. Li 제공 2023년 7월 1일 발사된 유클리드는 태양과 지구의 제2 라그랑주점에서 우주와 천체를 관측하고 있다. ... ...
건물 수천 채 삼킨 LA화재…네이처 선정 1월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25.02.02
예술품 등이 있는 거대하고 호화로운 로마식 목욕탕이 발견됐다. 목욕탕은 큰 저택의
중심부
에 있고 동전, 보석, 도자기와 함께 남녀의 유골 등도 발견됐다. 폼페이의 3분의 1은 아직 화산 잔해 아래 숨겨져 있다. ● 안 팔린 트리는 식사로 Tobias Schwartz/AFP/Getty 제공 독일 베를린 동물원에서는 ... ...
텔레픽스, UN에 'LA 산불' 위성영상 분석 자료 전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6
통해 확인된다. 또 12일에 촬영된 광학영상을 보면 남서풍의 영향으로 산불이 내륙
중심부
로 옮겨가는 모습이 관측된다. 앞으로 기상 상황에 따라 LA 시내로 피해가 확산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텔레픽스는 "위성영상을 통해 최초 발화지점도 예측했다"면서 "산불 발생 시점인 지난 7일 ... ...
537광년 떨어진 태아별, 우주의 '천연 화학실험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4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 태아별(원시별)은 아직 질량이 충분하지 않아
중심부
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천체를 말한다. 태아별은 주변 물질을 폭발적으로 흡입하는 시기를 반복적으로 거치며 성장한다. 태아별이 물질을 흡입하는 짧은 순간에 태아별의 밝기가 증가하며 ... ...
실명 유발'황반병성', 주사 대신 점안 치료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제공 65세 이상 노인층에서 가장 흔한 실명의 원인은 '황반변성'이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중심부
인 황반에 이상이 생겨 시력이 감소하고 사물이 왜곡돼 보이는 질환이다. 국내 연구진이 간단한 점안 투여로 황반병성을 치료할 수 있는 물질을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서문형 ... ...
이중 그라데이션 구조로 금속 재료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11.01
'이중 그라데이션'을 이루도록 설계했다. 표면은 단단하지만 중간은 부드럽고 다시
중심부
는 딱딱한 형태다. 금속이 변형됨에 따라 헤테로 구조 내부 경계면이 계속 이동했다. 동적 헤테로 구조화에 대한 모식도. 금속의 변형 과정에서 헤테로 계면이 기존과 달리 계속 이동한다. 포스텍 제공 ... ...
뽕나무 뿌리 추출물에서 찾은 항암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여러 신체 장기에서 발병하며 암의 70~80%를 차지한다. 고형암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암의
중심부
에 혈관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으면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저산소증이 발생하면 일반 세포는 사멸하지만 종양 세포는 계속 성장한다. 성장을 가능케 하는 건 ‘HIF-1α’라는 ... ...
목성 위성 유로파 탐사선, 허리케인 '밀턴'에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270km에 이르는 초강력 허리케인이다. 미국 국립허리케인센터(NHC) 예보에 따르면 밀턴의
중심부
가 9일(현지시간) 밤 플로리다 중서부 해안에 상륙해 다음 날 플로리다 중부를 지나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유로파 클리퍼 발사 일정과 겹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NASA는 유로파 클리퍼의 발사 ... ...
10월 과학기술인상에 박문정…고분자 합성·제어 분야 개척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있다는 점에서 산업적으로도 응용성이 높은 것으로 주목받았다. 말단그룹 치환만을 통해
중심부
나노구조체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정립한 것이다. 또 박 교수는 이 방법론을 기반으로 상상과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블록공중합체 시스템에서 '배관공의 악몽(Plumber΄s ... ...
지구 번개구름, 더 오래 넓게 '방사선' 내뿜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3
물체가 발생 지점에 아주 가까이 있을 때만 위험하다"고 설명했다. 비행기는 뇌운
중심부
비행을 피하기 때문에 이번 연구결과 때문에 추가로 걱정할 만한 부분은 없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뇌운의 감마선 방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 번개와 감마선 방출의 인과관계를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