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기
혹
헌데
암
부기
신생물
종창
뉴스
"
종양
"(으)로 총 1,02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진단·치료, 면역반응 유도까지 가능한 다기능 나노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제거하는 '광열치료(PTT)'만 가능했다. PTT뿐 아니라 나노디스크에 있는 철을 활용하면
종양
내부에 산화를 일으키는 '화학역동치료(CDT)'와 '페롭토시스' 치료법이 가능하다. 치료 후에는 면역 반응 물질도 유도할 수 있다. 나노디스크는 암세포가 사멸할 때 경고 신호를 방출해 우리 몸이 동일한 ... ...
유방암에 '스위치형 CAR-T' 첫 투여…고형암 치료 새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보였지만 고형암에서는 치료 효과가 적었다. 암세포 주변 환경이 복잡해 면역세포가
종양
안으로 침투하기 어려우며 부작용을 조절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에 사용된 sCAR-T 치료제는 이런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CAR-T 치료제는 두 가지 약제로 구성된다. 하나는 ... ...
암 찾아가는 박테리아가 빛 밝혀 암세포 정밀하게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차세대 수술 조영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암 수술은
종양
을 정확히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쉽지 않은 일이다. 유방암 수술의 경우 절제 경계에 암세포가 남는 ‘양성 절제율’이 최대 35%에 달해 환자의 재수술 부담과 재발 위험이 컸다. ... ...
"혁신이 현실로…항체약물중합체 등 암 진단 치료 전략 빠르게 변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있다는 것이다. 유방암 치료 후 모니터링 과정에서 ctDNA 검출률을 살피면 림프절 전이,
종양
의 공격성 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도 확인됐다. 박 교수는 ”ctDNA가 예후 바이오마커(생체지표)로서 임상적 유용성이 있다는 점을 확인한 다수의 연구들이 발표됐다“고 말했다. 신개념 항암제들의 ... ...
[의학바이오게시판] 툴젠, 종자개발 전문가 성동렬 부사장 영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지역에서 판매하고 있던 램시마, 짐펜트라(램시마SC 미국 브랜드명), 유플라이마 등 기존
종양
괴사인자(TNF-α) 억제제 제품군에 이어 스테키마가 속하는 인터루킨(IL) 억제제 시장 점유율도 점차 확대하며 자가면역질환 시장 내 영향력을 한층 강화하고 있다 ... ...
암 조직검사 통증 사라질까…머리카락 1000분의 1 나노 침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정보를 획득했다. 획득한 정보를 질량 분석법 및 인공지능(AI) 등으로 분석한 결과
종양
존재 여부, 치료에 대한 반응, 질병 진행 정도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추출됐다. 기존 전통 생검과 달리 조직에 손상을 입히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조직을 여러 번 샘플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양한 분자 ... ...
대장암 억제 새 단백질 기능 발견…"암세포 안에서 직접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연구는 NAG-1 단백질이 세포 밖에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내부에서도 직접적인
종양
억제 효과를 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이 단백질을 기반으로 한 항암 치료제 개발과 암 환자의 예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꿈의 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키트루다 대박' 후 개발 열기 식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말했다. 기술적 발전에 대한 새로운 시도도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에는
종양
미세환경을 바꾸기보다 면역세포 자체를 '재설계'해 억제 장벽을 무력화하는 전략이 주목받는다. 예를 들어 T세포 수용체의 특이성을 바꾸거나 억제 회로를 우회하는 유전적 개조를 하는 방식이 주목받는다. ... ...
[재생의료 최전선]③ 면역항암제 CAR-T 한계 넘는 ‘CAR-자연살해’ 개발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6.13
인간 혈관 어셈블로이드를 면역결핍 마우스(쥐)에 이식하고 CAR-NK를 반복 투여한 결과
종양
성장이 유의미하게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NK세포가 페리사이트에 직접 결합해 공격하는 장면도 면역염색 실험으로 검증했다.” Q. CAR-NK 치료제의 안전성은 어떤가. “CAR-T는 기억 기능이 강해 치료 ... ...
췌장암 정조준하는 치료제 개발…항체·나노전달체 결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전달 플랫폼이 개발됐다. 기존 치료제보다 정확하게
종양
을 겨냥하고 독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정주연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메소텔린(MSLN)’이라는 단백질을 표적 삼아 췌장암 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