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존재론"(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삶이 힘들어도 타인에 너그러운 사람들2020.05.30
- 불완전하며 다들 생노병사의 고통, 인간관계에서 오는 고통, 불확실성에서 오는 고통, 존재론적 불안감 등 다양한 고통을 짊어지고 살아간다는 사실을 아는 것이다. 따라서 힘들 때일수록 함께 고통을 겪고 있을 다양한 사람들을 떠올리며 고립감보다는 연대감을 느끼고 고통스러운 와중에도 타인을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불확실성을 대비한 마음 관리법2020.04.18
- 바우마이스터 교수 연구팀은 인간관계와 돈이 나름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으며 둘 다 존재론적인 안정감을 채워주는 중요한 도구가 된다고 본다. 문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우리의 생존과 안정감의 기반이 되는 관계와 돈(경제력)을 둘 다 흔들고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이 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투명인간'의 슬픔2019.09.14
- 통제감 상실과 함께 쓸모 없는 존재가 된 기분, 보이지 않는 투명인간이 된 기분 같은 존재론적 회의도 나타난다. 마지막으로는 화로 이어지기도 한다. 흥미로운 사실은 무시를 받은 사람은 소속감, 자존감, 통제감, 삶의 의미감을 잃지만 무시를 ‘하는’ 사람은 반대로 자존감과 통제감, 삶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나쁜 생각은 곱씹을수록 불어난다2019.05.25
- 정말 한심해. 나는 쓸모 없는 사람이야’ 같은 큰 좌절로 번지기 쉽다. 작은 고민이 존재론적인 고민으로 확대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존감이 건강하지 않은 사람은 한 번 곱씹기를 시작하면 일이 걷잡을 수 없이 번지기 때문에 자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 않으려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2018.06.23
- 느껴질 때가 있다. 모든게 다 부질 없는 거 같고 ‘나는 도대체 왜 사는 거지?’라는 존재론적 질문이 떠오를 때가 있다. 이런 허무감은 왜 찾아오는 걸까? GIB 제공 인간은 ‘의미’를 찾는 동물이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학의 심리학자 마이클 스티거(Michael Steg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은 ... ...
- 지나치게 큰 자존감이 '갑질 사회'를 만들었다?2017.06.10
- & Brown, 2014). ‘죽음’ 이나 ‘삶의 의미’ 같이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삶의 유한함이나 존재론적인 질문을 맞닥트렸을 때, 또는 인간보다 거대한 존재(신이나 영적인 존재)를 맞닥트렸을 때 앞으로는 더 남을 돕고 착하게 살아야겠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마치 구두쇠 스크루지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정도가 아니라 삶을 송두리째 내버리는 정도의 무게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자신의 존재론적 이유와 안전막을 통채로 버린다는 것은 누구에게라도 쉽지 않은 일이다. ● 종교 내 집단의 압력을 받으며 맹목적이 된다 그리고 이렇게 종교가 ‘정체성’의 일부가 되는 데에는 ‘집단’의 힘이 크다. ... ...
- 태풍과 인류: 태풍에 대비하는 건강한 마음가짐2016.10.06
- 합니다. 성적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예민한 시기의 청소년들은 삶의 유한성과 같은 존재론적 불안에 휩싸이고, 사회적 고립이나 짜증, 분노, 위험한 행동, 부모나 선생님과 같은 권위상에 대한 반항을 보이기도 합니다. ○ 아이들과 충분한 시간을 보낸다. √ 힘든 시기에는 어른에게 의존할 수 ... ...
이전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