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낚시터
낚싯터
어기
뉴스
"
조대
"(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미국 텍사스대 교수, 스탠리 휘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
조대
교수 겸 아사히가세이 명예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세 사람이 에너지를 충전할 수 있는세상을 만든 공로가 인정된다"고 평가했다. 아래는 노벨위원회가 발표한 이들의 업적 보도자료 ... ...
노벨화학상, 충전의 세상 연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 3명 수상(종합)
2019.10.09
미국 텍사스대 교수(97)와 스탠리 휘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78),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
조대
교수 겸 아사히가세이 명예 연구원 (71) 2019년 노벨 화학상 수상의 영예는 스마트폰과 노트북 등 무선 기기를 비롯해 전기차에 대중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2차전지를 개발하는 데 공헌한 3명의 ... ...
노벨화학상에 리튬이온 배터리 연구자3명…日 24번째 수상(2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미국 텍사스대 교수, 스탠리 휘팅엄 미국 빙엄턴대 교수, 요시노 아키라 일본 메이
조대
교수 겸 아사히가세이(旭化成) 명예 연구원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위원회는 "세 과학자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발전을 가져왔다”며 “리튬이온은 현재 휴대전화에서부터 노트북, 전기차까지 모든 것에 쓰이고 ... ...
기능성 촉매 성능 높일 금속나노 입자 제어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4.23
이 현상으로 촉매 입자가 지지체 표면에 박히게 되면서 고온에서도 결정이 굵어지는 ‘
조대
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화학적 잠재에너지가 크지만 입자 크기가 작은 나노 촉매 입자에서 화학적 잠재 에너지가 작지만 입자 크기가 큰 원자로 이동하면서 촉매 입자의 크기와 밀도가 순간적으로 변하는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레이저 기술 혁신 가져온 3人
2018.10.03
14년 노벨 물리학상은 청색 발광다이오드(LED)를 최초로 개발한 아카사키 이사무 일본 메이
조대
교수와 아마노 히로 나고야대 교수, 나카무라 슈지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UC샌타바버라) 교수가 차지했다. 같은 해 노벨 화학상은 초고해상도 현미경을 만든 학자들에게 수여됐고 지난해 노벨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LED 개발의 단서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스승인 아카사키 이사무(赤崎勇·86) 일본 메이
조대
교수와 함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됐다. 아마노 교수는 현재 녹색 LED의 효율을 끌어올리는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는 “붉은색 LED와 청색 LED의 효율은 최고치에 이른 상태”라면서 “녹색 LED는 이들에 비해 ... ...
[2014 노벨 물리학상] ‘빛의 혁명’ 선물한 과학자들
2014.10.07
특히 일본에서는 올해 노벨상 수상자 배출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된 상태였다. 메이
조대
는 아카사키 교수의 수상을 조심스럽게 점치기도 했다. 나카무라 교수 역시 2006년 ‘기술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핀란드의 ‘밀레니엄 기술상’을 수상하는 등 꾸준히 노벨상 후보로 거론돼왔다. 나카무라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