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모깎기
전용
전적
양털깎기
뉴스
"
전모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타투(문신)가 지워지지 않는 이유
2018.03.27
생각이 미친 것이다. 진피에는 다양한 면역세포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아직 그
전모
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생쥐의 꼬리 진피에 타투를 한 뒤 조사한 결과 특정 유형의 대식세포(왼쪽)가 안료(녹색)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유형의 대식세포(가운데)나 수지상세포 ... ...
뱀을 사냥하다가 역습 당한 매
팝뉴스
l
2017.10.29
쏘아보는 것일까? 잠시 후 진실이 밝혀진다. 매가 스스로 뒤집어진다. 발을 보니
전모
를 추정할 수 있겠다. 뱀이 매의 두 발을 꽁꽁 묶어 놓은 것과 같은 상태였다. 매는 뱀을 먹거리로 잡으려고 했다. 그런데 이 뱀은 역습을 감행한다. 다리를 묶어 매를 곤란에 빠뜨린 것이다. ‘동물 서열 역전의 ... ...
창의적인 눈 화장 ‘눈감으면 노을’
팝뉴스
l
2017.08.27
호평을 받으며 SNS에서 해외 네티즌의 주목을 받고 있다. 눈을 뜨고 있으면 눈 화장의
전모
가 보이지 않는다. 눈을 감으면 수평선 너머로 향하는 태양이 보이고 그 빛이 바다에 반사되어 일렁이는 극적인 장면이 나타난다. 아래 사진에서는 눈 주변에 별자리가 그려졌다. 팬들은 ‘우주를 담은 눈 ... ...
덴마크 숲속, 경이로운 전망대
팝뉴스
l
2017.06.25
낮은 곳에서는 주변 가까운 곳의 풍경만 보이지만 높이 올라갈수록 굴곡진 숲의
전모
가 제대로 드러난다. 이런 숲속의 고공 산책로를 만든 회사는 덴마크의 에펙트 뿐이 아니다. 에스토니아의 회사 테츠오 콘도가 만든 트리탑 산책길도 이와 비슷하고, 런던의 큐 가든즈가 만든 구불어진 캐노피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게 더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까지 수용체가 제대로 규명이 안 돼 그
전모
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음식 선호도에 두 감각이 작용하는 예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바로 향신료 고수(cilantro)에 대한 선호도로 냄새수용체와 맛수용체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에 뛰어들었고 다양한 생태계에서 핵심종의 존재가 속속 드러났다. 페인 사단의
전모
를 한 눈에 보여주는 페인가계도. 1999년 만든 것이다. - Marian Kohn 제공 한편 페인은 뛰어난 후학들을 많이 배출한 것으로도 유명한데 학계에는 ‘페인 사단’으로도 불린다. 실제 1999년 메리언 콘이 그린 ... ...
‘과학적 사실과 사후검증‘의 관점에서 본 천안함 논쟁
2016.09.26
관심이 다가서기에는 복잡한 미로이자 높은 벽이었다. 시나리오의 심판자가 되어 사건의
전모
를 파악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은 논쟁을 이끄는 동력이었지만 폭넓은 논쟁을 만드는 데에는 장애가 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무엇이 진실인가’를 묻기에 앞서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은 어떠해야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이른다. 매년 p53 관련 논문이 수천 편씩 쏟아지고 있지만 놀랍게도 여전히 p53의
전모
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알려진 p53의 작용은 무척 다양해 암을 지키는 파수꾼 가운데 ‘우두머리(master)’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다. p53 유전자는 평소에는 발현량이 적지만 외부 환경이 나쁜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하는 경우가 많은데, 메신저 프로젝트는 ‘사이언스’와 손을 잡았다. ● 수성의
전모
드러나 2008년 1월 14일 메신저호가 수성에 첫 번째 접근통과를 할 때 200킬로미터까지 다가가면서 많은 데이터를 생성해 보냈다. 그 결과를 담은 논문 11편이 그해 7월 4일자 ‘사이언스’에 실리면서 화제가 ... ...
[유용하의 장르소설서 길을 잃다] 역사상 최초의 탐정 비도크
동아사이언스
l
2013.09.05
유명하고, 간혹 미드나 추리소설에서도 인용되기도 한다. “어떻게 이 같은 범죄의
전모
를 파악하게 됐나?” “범죄자란 독창성이 없지. 한 번 사용한 범죄방식이 성공하면 다시 한 번 쓰게 돼 있지. 안전한 아지트를 찾을 때도 계속 안전한 아지트만 찾게 되는 법이지.” 세기의 범죄자이자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