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천연
우주
만물
산수
산림
생태계
뉴스
"
자연계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보인다. 과학자들이 원하는 형태의 특정한 단백질을 만드는 것은 학계에서 중요하다.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는 단백질은 특정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맞춤형 단백질 치료제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단백질을 만들면 새로운 암 치료법 전략을 ... ...
노벨화학상 베이커 교수팀, AI로 '100% 인공' 효소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이번 연구에 대해 노엘리아 페루즈 스페인 유전체조절센터 연구원은 "AI 도구가 언젠가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화학반응을 일으킬 효소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며 "무엇이든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한계는 오직 상상력"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adu245 ... ...
0.01나노미터 정밀 조절로 핵융합 원료 중수소 골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다공성 물질의 기공을 0.01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단위로 조절하는 기술이 나왔다.
자연계
전체 수소 중 0.015%만 존재하면서 일반 수소와 성질이 비슷해 분리가 까다로운 중수소를 효율적으로 분리해낼 수 있다. 수소의 동위원소인 중수소는 핵융합발전, 반도체공정 등에 쓰일 수 있는 핵심 자원이다 ... ...
양자컴퓨팅으로 복잡한 유체 난류 시뮬레이션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거의 불가능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자들이 양자컴퓨팅 알고리즘으로 복잡한
자연계
문제인 난류(turbulent flow) 시뮬레이션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복잡한 시스템을 확률론적으로 시뮬레이션해 계산 비용을 줄이고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는 평가다. 니키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 든 동물은 생태계 지킴이
2025.01.22
후기 이래 수만 년 동안 인류의 개입과 기후변화로 젊은이의 세계가 된 야생
자연계
를 원래의 나이 구조로 회복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21세기에도 인간 사회와는 달리 동물 사회는 여전히 노령 개체의 지혜가 큰 힘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물고기가 온도 변화를 견디는 능력은 생애 단계에 따라 ... ...
KAIST 정시 지원자 38% 급감…의대증원 여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대전 유성구에 있는 KAIST 전경. KAIST 제공 KAIST의 2025학년도 정시모집 지원자가 지난해보다 37.9%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 정원이 한꺼번 ... 2022년 개교 이후 최저치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의대 정원 확대가 최상위권
자연계
와 과학기술원 지원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 ...
의대 정시 지원 6년 만에 1만 명 넘어…서울대·연세대 자연대 지원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쏠림 현상이 일어나면서 자연대 지원자 수는 크게 감소했다. 의학 부문을 제외한 서울대
자연계
지원자 수는 2549명으로 전년보다 18.7% 감소했다. 연세대도 9.3% 줄었다. 종로학원은 "수능 최상위권 학생들은 정시에서도 의대 지원에 집중한 것 같다"며 "지방권 의대는 중복합격에 따른 이탈 학생 수가 ... ...
SKY 수시 합격자 3888명 등록 포기…"의대 증원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4.9%에 해당한다. 임 대표는 "현재까지의 수시 등록포기율을 고려했을 때 올해는
자연계
일반학과는 서울대, 고려대에서 수시 이월 인원이 다소 줄되 연세대는 늘어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 ...
노벨상 수상자와 협업한 포스텍, AI 유전자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케이지는 네 종류의 인공단백질(de novo proetin)로 구성된다.
자연계
에 존재하지 않고 컴퓨터로 설계한 새로운 단백질이다. 새로운 나노케이지 중 직경이 최대 75nm(나노미터, 10억분의 1m)에 이르는 정십이면체 구조는 기존 유전자 전달체로 쓰였던 AVV 바이러스보다 3배 커서 훨씬 ... ...
양자 컴퓨팅 혁신 열쇠 '나선성 메커니즘' 최초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1.15
높일 수 있다. 원자보다 작은 입자인 아원자 수준부터 생명체에 이르기까지 나선성은
자연계
에 널리 존재하는 현상이지만 형성 원리는 아직 불분명하다. 연구팀은 타이타늄과 셀레늄으로 이뤄진 ’원티-타이타늄 셀레늄 투(1T-TiSe₂)‘라는 전이금속 칼코겐화합물에서 나타나는 ’전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