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디안
아메리카인디언
indian
인도사람
세정
Sejung
세정그룹
뉴스
"
인디언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사운드트랙] 슈퍼캠이 녹음한 화성의 바람 소리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고화질을 갖고 있다. 마즈 표면은 울퉁불퉁한 자국이 선명하다.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부지런함’을 뜻하는 예이고는 바위 표면이 금속이 박힌 듯 반짝거리는 것도 확인됐다. 바위의 이름에 나바호족의 말이 붙은 것은 퍼시비어런스 탐사물에 독특한 명칭을 부여하는 ... ...
화성에 레이저 쏘자 나는 소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구별할 수 있을 정도의 고화질을 갖고 있다. 마즈 표면은 울퉁불퉁한 자국이 선명하다.
인디언
나바호족의 말로 ‘부지런함’을 뜻하는 예이고는 바위 표면이 금속이 박힌 듯 반짝거리는 것도 확인됐다. 바위의 이름에 나바호족의 말이 붙은 것은 퍼시비어런스 탐사물에 독특한 명칭을 부여하는 ... ...
코로나19가 드러낸 시대의 불평등
동아사이언스
l
2020.06.16
감옥에 투옥된 사람은 33%로 백인의 30%보다 오히려 높기 때문이다. 라틴계나 미국
인디언
, 성소수자 역시 비슷하다. 건강과 수명에서도 차별은 통계로 증명돼 있다. 미국 내 여성 수명은 소득 상위 20%에서는 지난 40년 동안 6년이 늘었지만 나머지 80%에서는 늘지 않았다. 아프리카계 미국인은 ... ...
"바이러스는 불평등하다" 코로나19가 제기한 윤리 논쟁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배 이상 차이가 난다”고 발표했다. 연구팀은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라틴계 미국인, 미국
인디언
, 알래스카 원주민 등의 지역별 코로나19 환자 및 사망자 발생률 데이터를 수집해 비교했다. 거주자 1만 명 가운데 몇 명의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했는지를 출신지나 인종 별로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나치와 일부 극우주의자들이 사용하는 언어라는 논란이 일자 지난해 11월 NASA는 북미
인디언
언어로 하늘을 뜻하는 ‘아로코스’로 바꿨다. 뉴호라이즌스호는 지난해 1월 1일 아로코스를 3500㎞ 가까이 근접 비행하며 영상을 촬영해 지구에 보내왔다. 지름 14㎞와 19㎞인 납작한 모양의 천체가 ... ...
[애니멀리포트] 초원수리 민은 어쩌다 통신요금 폭탄을 맞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04
있다. Russell Benford 제공 미국 애리조나에서는 시민과 함께 야생동물을 지키는 길라리버
인디언
커뮤니티의 ‘둥지 관찰자’들이 흰머리수리의 번식지를 보호합니다. 2015년부터 매년 같은 둥지에 알을 낳는 흰머리수리가 번식에 성공했는지, 둥지를 위협하는 요인은 없는지 기록합니다. 2013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LSD 르네상스를 꿈꾸는 사람들
2019.11.19
탁월한 효과를 보이며 ‘기적의 신약’으로 불리게 된다. 한편 멕시코의 마자텍(Mazatec)
인디언
은 도취 상태에서 샤먼 의식을 치르는데, 1950년대 이들이 의식에 앞서 광대버섯의 일종인 실로시브(Psilocybe) 버섯을 먹는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수집가에게서 버섯을 받은 호프만은 1958년 유효성분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화려한 딸기독개구리, 새로운 종 등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0.05
매우 치명독인 독을 갖고 있어 사람이 피부를 만지기만 해도 생명을 잃을 수 있다. 과거
인디언
들이 딸기독개구리로부터 독을 얻어 화살촉에 묻혀 동물을 사냥하기도 했다. 학계에서는 딸기독개구리가 화려한 외양을 갖게 된 이유로 천적에게 독이 있음을 경고함과 동시에 짝짓기 상대를 선택할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O형이었다. 그러다가 A형과 B형이 차례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아메리카
인디언
은 가장 태곳적 혈액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믿음직한 가설은 아니다. 아마도 아메리카 원주민의 높은 O형 비율은 창시자 효과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빙하기 때 시베리아에서 베링기아 대륙을 건너 ... ...
인간 항생제 남용으로 애꿎은 돌고래도 피해
연합뉴스
l
2019.09.17
대학 하버브랜치 해양학연구소의 전염병학자 애덤 섀퍼가 이끄는 연구팀은 플로리다주
인디언
강 석호 주변의 큰돌고래(bottlenose dolphin)들에서 검출된 병원균을 검사한 결과, 항생제 내성이 심각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과학저널 '수생포유류(Aquatic Mammal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200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