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함몰
뉴스
"
움푹한 곳
"(으)로 총 33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감시부터 몸속 의료장비 전력공급까지..."붙이면 끝" 패치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7.13
소니카헬스 제공 피부에 붙이면 체온과 같은 생체 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아픈
곳
을 치료하는 ‘패치’ 기술이 새로운 헬스케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각광 받는 웨어러블(입는) 기기보다 더 직접 생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는 게 장점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 ... ...
백두대간 동물들의 흔적 찾아 숲속에서 펼쳐진 1박2일간의 작은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했다. 수목원 관계자는 얼마 안 가 맷돼지 흔적을 찾아 가리켰다. “여기 땅이 움푹 파인
곳
이 보이나요? 멧돼지가 킁킁거리고 다닌 흔적입니다. 주로 식물의 뿌리를 먹고 살기 때문에 이렇게 밤새 땅을 헤집어 놓습니다..” 밤 늦게까지 멧돼지 흔적은 길
곳곳
에서 관찰됐다. 하지만 ... ...
[주말N수학] 아기 얼굴로 바꿔주는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수학동아
l
2019.08.10
맞게 어떤 얼굴 사진이든 바꾸는 겁니다. 얼굴을 찾는 기술은 필터뿐 아니라 더 많은
곳
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김 수석개발자는 “PC에서는 이목구비 뿐 아니라 피부의 질감까지 포착할 수 있고 3차원 정보도 지각할 수 있다”며 “성형 수술하면 얼굴이 어떻게 변할지 미리 확인하는 것도 ... ...
진주서 발견된 세계 최대급 ‘공룡 발자국 화석지’ 사라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28
있었다. 큰 공룡 발자국과 작은 공룡 발자국이 겹쳐 찍힌
곳
도 부지기수였다. 어디에 발을 디뎌야 할지 몰라 한동안 ...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공룡 발자국 화석이 한
곳
에 밀집한 화석산지는 중국에 있는데, 발자국 수가 2200개입니다. 이
곳
은 그 수를 넘길 게 확실합니다.” 김 교수의 말에, ... ...
“날씨만큼 예측 어려운 대규모 지진… 지반상황 파악해 피해 최소화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09.21
지점이 1mm만 틀어져도 완전히 달라진다. 에너지가 서서히 풀리며 작은 지진이 예상됐던
곳
에서 단숨에 큰 에너지가 방출되면서 큰 지진이 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차이 교수는 “현재로서는 지진파 측정이나 현장조사를 통해 ‘100년 동안 그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최대 지진 규모’를 예측할 수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미래 화성 거주지는 어떤 모습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26
활용할 수 있다. 미래의 화성 거주지는 어떤 모습일까. 거주지 1순위로 꼽히는
곳
은 크레이터와 같이 자연적으로 움푹 패인 지형이다. 지하에 도시를 건설하고 둥근 형태의 차폐막을 만드는 게 가장 안전하다. 지하에 건축물을 짓고 그 사이를 터널을 뚫어 연결하면 마치 개미굴 같은 형태가 ... ...
[이강운의 곤충記] 직접 알을 품는 물장군의 부성애
2018.07.11
하며 수분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산소도 한껏 호흡할 수 있어, 물풀이 산란하기엔 적당한
곳
이다. 게다가 알을 감싼 상태로 몸을 기대고, 높은
곳
에서 천적을 관찰하고 제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산소 때문에 물 밖으로 나오긴 했지만 바깥은 원래 살던
곳
이 아니므로 더 위험하다. 물에 ... ...
[여기에 과학] 동해엔 모래해변, 남해엔 자갈해변 많은 건 왜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잡아 떠날 수 있겠지만, 우리나라도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지역
곳곳
에 해수욕장이 잘 발달해 있습니다. 황금빛 모래가 내려앉은 동해쪽 ... 퇴적물이 쓸려 내려와 쌓이는 동시에, 파도로 인해 끊임없이 침식되는
곳
이죠. 또 한 가지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조류입니다. 바다에선 달과 ... 주변 ... ...
유전자 가위로 바이러스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28
가위효소로 카스9 대신 카스12a를 사용했다. 이중나선 DNA와 만나는 촉매구역이 카스9은 2
곳
, 카스12a는 1
곳
이다. 바이러스를 이용한 예비 실험에서 촉매구역이 적은 카스12a가 카스 9보다 더 빠르게 바이러스의 DNA나 RNA 가닥을 찾아내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첸 연구원은 논문에서 “크리스퍼 ... ...
함몰지진? 암반파열? 늘어나는 북핵 2차 지진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9.05
인공지진임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기상청은 이 인공지진이 6차 핵실험 위치에서 남동쪽으로 약 7km 떨어진
곳
에서 발생한 규모 4.4의 ‘함몰지진’이라고 밝혔다. 함몰지진(spall)은 핵실험 등 큰 폭발이 일어난 뒤에 뒤따라 ... 물질 유출 여부를 논할 수 없다”고 말했다. 김원영 교수도 “지진이 난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