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전
전도
복구
회복
복귀
복원
부흥
뉴스
"
역전
"(으)로 총 181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무작위 정보 학습하면, AI 학습 효율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10.23
수송이 없는 신경망에 의미 없는 무작위 정보를 사전 학습시켰다. 그 결과, 오류
역전
파 학습을 위해 필수적인 신경망의 순방향과 역방향 신경세포 연결 구조의 대칭성이 만들어졌다. 무작위적 사전 학습을 하면 가중치 수송 없이도 학습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즉 무작위 정보의 사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성공시킨 비율은 75%지만 경기 시간이 2분이 채 남지 않았을 때 킥을 성공하면 동점 또는
역전
이 되는 상황에서는 66%로 떨어졌다. 오죽하면 '큰 경기에 명승부는 없다'는 말이 있을까.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는 것처럼 보상이 아주 클 때 제 기량을 발휘하지 못하는 현상을 '압박감으로 인한 경직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인공지능과 물리학의 경계를 허물다
2024.10.11
힌턴 교수를 스승으로 모시며 그의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힌튼 교수는 종종 ‘
역전
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최초로 소개한 인물로 알려졌지만, 본인은 여러 차례 인터뷰를 통해 이 알고리즘이 자신의 독창적인 발명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미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다루어진 방법이라는 점을 ... ...
[노벨상 2024] 자신이 토대 닦은 AI 위험성 경고한 '딥러닝 대부' 힌턴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힌턴은 계속해서 AI 연구를 이어갔다. 그의 연구 가운데 특히 인공신경망 훈련을 위한 '
역전
파 알고리즘' 개발은 기계학습과 AI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2006년 힌턴 교수는 인공신경망을 효율적으로 학습시키는 방법을 제시하면서 '딥러닝'이라는 신기술을 등장시켰다. 딥러닝은 AI를 ... ...
2100년엔 산성화된 바다로 바캉스 떠난다
과학동아
l
2024.08.31
빙하가 더 많이 녹으면 극지방의 담수 유입이 증가할 것"이라며 "이는 '대서양 자오선
역전
순환(AMOC・Atlantic Meridional Overturning Circulation)'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말을 이해하기 위해선 바다가 순환하는 동력인 열염분 순환에 대해 알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열염분 순환은 ... ...
'의료 수가' 손본다…저평가된 수술·응급 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현행 수가 체계에서는 획일적인 인상 구조로 의원급 수가가 병원급 수가를 상회하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등 수가 체계가 왜곡되는 문제가 있다. 가령 검체·영상 검사처럼 고가의 장비를 이용한 의료 행위는 상대가치점수가 고평가된 반면 수술· 처치처럼 인적 자원 투입 강도가 높은 행위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다 잘될거야' 낙관, 오히려 해롭다
2024.05.25
것도 비현실적이지만 항상 비관하는 것도 비현실적이다. 아무리 비관해 봤자 9회 말
역전
같은 일이 일어나기도 하듯 결과는 아무도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뉴욕대 심리학자 가브리엘 외팅겐은 통제할 수 없는 미래보다 어느 정도 통제할 수 있는 일의 '과정'에 주목할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이 잘 자라려면 오후에 강한 빛 있어야
2024.03.20
같다는 춘분이다. 실제로는 낮이 12시간 8분으로, 3일 전인 17일 이미 낮 길이와 밤 길이가
역전
됐다. 춘분에서 추분까지 반년 동안은 북반구의 낮이 밤보다 길고 이런 조건을 장일(長日)이라고 부른다. 북반구 중위도 지역에서 이 기간은 초봄에서 초가을에 해당한다. 낮 길이 변화는 지구 공전에 ... ...
한국인, 질병으로 잃은 수명 12년간 13.8%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있었다. 여성의 장애보정생존연수는 2016년까지 남성보다 높은 수준이었지만 2017년
역전
됐다. 연구팀은 여성이 남성보다 의료서비스를 더 적극적으로 이용하는 경향이 장애생활연수를 줄이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추정했다. 장애보정생존연수가 증가한 주요 원인은 당뇨병이었으며 요통과 ... ...
과학기술 한국 제친 중국…'해외 젊은인재' 유인에 돈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2020년 동일 평가에선 한국은 80.1%로 중국(80%)에 간신히 우위를 점했지만 결국 2년 만에
역전
된 것이다. 중국은 선도국도 제치고 있다. 네이처가 지난해 6월 발표한 ‘네이처 인덱스 셰어’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자연과학 연구 영향력은 미국을 추월해 1위로 올라섰다. 중국은 이 지표에서 전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