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50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이들의 공생도 약 1억 년 전 일어난 것으로 보이고 그사이 게놈도 작아졌고
숙주
세포의 단백질과 대사산물에 많이 의존하지만 질소체와는 달리 내생 근류균은 여전히 세포호흡을 통해 자체로 에너지분자인 ATP를 만드는 능력이 있다. 추가 연구를 통해 세포소기관으로 보더라도 앞서 ... ...
노벨상 수상자와 협업한 포스텍, AI 유전자 전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19
인공 단백질 연구를 통해 개발된 '나노케이지(nanocage)'가 주목받고 있다. 바이러스가
숙주
를 찾아 공격하듯 표적 세포에 치료용 유전자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기존 나노케이지는 크기가 작아 담을 수 있는 유전자의 양이 제한적이었고 실제 바이러스 단백질보다 구조가 단순해 여러 기능을 구현하는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박테리오파지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공개했다. 박테리오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기생하면서 공격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다. 마치 주름진 표면이 펄럭이는 꽃잎처럼 보인다. 이탈리아 에트나 화산에서 연기 고리가 나오고 있다. 파브리지오 빌라 제공 또 다른 사진 '링 마스터'는 4월 ... ...
'박테리아 조준 미사일 칵테일'…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새 사냥법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 박테리오파지(이하 파지)는 박테리아를
숙주
삼아 기생하면서 공격성을 보이는 바이러스다. 볼리키 교수는 “파지는 박테리아를 조준하는 정밀 미사일”이라며 “건강한 인간 세포는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해로운 박테리아를 표적 삼아 제거할 수 있다”고 ... ...
중국보다 앞선 1만5000년 전 한반도에서 세계 최초로 벼농사를?
2024.11.09
지류 하천인 미호강 주변은 과거 습지였을 것"이라며 "소로리 유적에서 주로 벼과 식물과
숙주
관계인 딱정벌레류가 나온 것이 강력한 증거"라고 덧붙였다. 겨울만 날수 있다면 벼가 자라기 좋은 조건이었을 것이라는 말이다. 유물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1만 5000년 전 한반도에 벼가 자생했거나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질병, 병원, 의사, 의학 뒤집어 보기
2024.10.27
싸울 미생물이 침입하기 전까지는 확인이 불가능하다. 또 미생물이 침입하는 경우
숙주
인 사람의 몸 상태나 침입한 미생물의 수와 병을 일으킬 수 있는 능력 등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그러므로 인류가 건강한 사회를 이루기 위해서는 각자의 건강관리는 물론 사회 전체의 건강관리가 중요하다 ... ...
깔따구·모기 매개 감염병 확산, 이유는 '강력한 변이' 탓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조각 2개였다. 연구팀은 "2010년과 2015년 사이 어느 시점에 바이러스가 하나의
숙주
안에서 만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변이를 거치며 오로푸치 바이러스는 증식 속도, 독성 등이 강해졌다고 추측했다. 이같은 추측은 최근 유행한 오로푸치 바이러스를 1960년대 오로푸치 바이러스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생벌에 지배 당한 성충 초파리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8
"우연한 발견으로 새로운 기생벌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었다"며 "향후 기생충과
숙주
의 상호작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doi.org/10.1038/s41586-024-07919- ... ...
3600년 전 미라 옆 치즈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9.27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수천 년 동안 이어진 유전적 교류를 통해 인간
숙주
에 더 잘 적응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락토바실루스는 크게 러시아와 티베트에서 각각 유래한 두 그룹으로 나뉜다. 현재 전 세계에서 요구르트나 치즈를 만드는 데 가장 널리 쓰이는 건 러시아 유형이다. 고대 ... ...
애벌레·번데기 아닌 '어른 초파리' 노리는 기생벌 첫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12
"우연한 발견으로 새로운 기생벌의 생활사를 연구할 수 있었다"며 "향후 기생충과
숙주
의 상호작용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 doi.org/10.1038/s41586-024-07919-7 성충 초파리에 알을 낳는 기생벌의 생활사. Moore et al./Nature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