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수
명인
강적
뉴스
"
상수
"(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선정 2024년 과학계를 빛낸 10명
동아사이언스
l
2024.12.21
서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유럽우주국(ESA)의 플랑크 위성이 측정해 2018년 발표한 허블
상수
인 메가파섹당 67km/s와는 차이가 있다. 프리드먼 교수의 결과는 우주 팽창 속도에 대한 오랜 질문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플라시데 음발라 콩고공화국 국립 생의학 연구소 연구원. ... ...
올해 최고의 과학 성과는 '에이즈 백신'
동아사이언스
l
2024.12.13
파이크 독일 국립 측정표준연구소 연구원,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관측 데이터로 허블
상수
를 계산한 웬디 프리드먼 미국 시카고대 교수, 엠폭스(MPOX) 확산을 예측한 플라시데 음발라 콩고공화국 국립 생의학연구소 연구원 등의 과학자를 선정했다. 기상 예보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더 ... ...
"우주, 기존 예측보다 빠르게 팽창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중요한 요소가 누락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우주배경복사에 기반해 허블
상수
를 계산하는 방법은 우주론 모델에 따라 값을 다르게 도출한다. 기존 우주론 모델이 우주를 이루는 암흑 에너지, 암흑 물질의 성질 등 예상치 못한 변수를 계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 ...
천문학자부터 변호사까지…네이처 선정 올해 과학계 빛낸 10대 인물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서로 멀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유럽우주국(ESA)의 플랑크 위성이 측정해 2018년 발표한 허블
상수
인 메가파섹당 67km/s와는 차이가 있다. 프리드먼 교수의 결과는 우주 팽창 속도에 대한 오랜 질문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플라시데 음발라 콩고공화국 국립 생의학 연구소 연구원. ... ...
"우주는 생명체가 관찰할 수 있게 형성"…우주론 한 축 부정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2.09
초기 우주가 극도로 짧은 시간에 급격하게 팽창한 사건을 일컫는다. 이 이론은 우주
상수
가 지적 생명체 탄생을 위해 미세하게 조정됐다는 인류원리와 달리 현재의 우주가 우주팽창에 의한 자연스러운 물리적 과정에서 비롯됐다고 본다. 우주 팽창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지만 ... ...
2차원 소재와 강유전체 접합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세계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2.04
낮아진다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이황화 텅스텐의 격자
상수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된 단위)와 HZO의 특정 면 간 거리가 유사하다는 특성을 이용했다. 이 두 물질이 서로 결합할 때 우수한 결정성 확보가 가능한 것에 착안했다. 이를 통해 물질 도메인의 방향성을 제어하고 ... ...
난데없는 땅꺼짐…땅속 빈 공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26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의 전체 상하수관 중 30년 이상 된 하수관로는 전체의 55.6%,
상수
관로는 전체의 36%나 됩니다. 땅 꺼짐은 집중호우가 이어지는 6~8월 자주 발생합니다. 집중호우 기간에는 빗물이 땅속으로 스며 들어 지하수의 양이 갑자기 많아집니다. 지하수가 평소보다 빠르게 흐르면서 흙을 ... ...
최재경 전 원장도 해외로…석학 떠나는 고등과학원 "2년 간 3명 더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달라질 수 있는 '제5원소'라는 획기적인 주장을 펼쳐 전세계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우주
상수
가 암흑에너지라는 그동안의 우주론 패러다임을 넘어서는 내용이었다. 자신의 이론을 한창 검증 중인 박 교수는 "내년은 연구 결과가 나오는 결정적인 시기인데 동시에 정년 퇴임해야 해 연구를 ... ...
예견된 하루살이떼의 서울 '급습'…"유전적 다양성 높아 더 심각해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5.29
살 수 있다는 말이다. 동양하루살이.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동양하루살이 발생지는
상수
원 보호구역이기 때문에 물속 유충을 제거하거나 성충에 살충제를 분무하지는 않는다. 이에 포식자를 이용해 개체수를 조절하는 방법도 효과가 크지 않은 상황이다. 2022년 남양주시는 월문천과 한강에 ... ...
'빅뱅이론'이 흔들린다...기존 우주론 위협하는 연구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아직 연구 데이터가 더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한다. 리스 교수는 "JWST를 활용해 허블
상수
를 측정한 두 연구는 기존 연구에 비하면 작은 규모"라며 "아직 JWST 데이터에서 결론을 도출하기는 너무 이르다"고 밝혔다. DESI 연구팀도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해야 새로운 우주 모델을 만들어야 할지 판단할 수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