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066건 검색되었습니다.
6배 정밀해진 '3D 뇌 모사 플랫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16
연결된다. 연구팀은 아래층에 미세 전극칩을 달아 전기신호를 측정하고 위층은
빛
(칼슘 이미징)으로 세포 활동을 관찰하는 ‘이중 모드 분석 시스템’ 기술을 적용했다. 그 결과 전기 자극을 줬을 땐 위층과 아래층 신경세포가 동시에 반응했고 신경 연결을 차단하는 시냅스 차단제를 넣었을 땐 ... ...
단일 촬영만으로 정밀한 스펙트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5
설계하고, 이를 6*6 배열로 구성해 상용 CMOS 이미지 센서 위에 장착했다. CMOS 센서는
빛
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반도체 기반 센서다. 이렇게 제작된 센서는 단일 이미지 촬영만으로 500~850nm 범위의 파장 정보를 필터 단위로 측정할 수 있다. 이는 가시광선과 인간이 감지하기 어려운 근적외선 ... ...
역대 가장 거대한 블랙홀 병합 중력파 검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4
현상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블랙홀 충돌은 지구로부터 약 100억 광년(1광년은
빛
의 속도로 1년 이동한 거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했다. 충돌한 블랙홀은 각각 태양 질량의 137배, 103배로 지구보다 40만 배 빠르게 회전하고 있었다. 이들은 오랜 시간 서로를 향해 회전하다가 마침내 충돌했고 ... ...
원래는 정자 배출구였다?…다시 쓰는 항문의 기원
과학동아
l
2025.07.12
형광 제자리 부합법을 이용하면 세포 조직에서 특정 유전자가 발현될 때마다
빛
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연구 결과 원래라면 항문에서 발현돼야 하는 유전자들이 제노투르벨라 보키의 경우에선 정자 분비선에서 발현되는 것을 확인했어요. 연구팀은 논문에서 “이 발견은 제노투르벨라 보키의 정자 ... ...
생쥐 전체 신경 지도 완성…초고속 3D이미징으로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7.11
중국과학기술대학교(USTC) 교수 연구팀은 생쥐 조직에 화학 처리를 통해 지방과 칼슘 등
빛
을 방해하는 성분을 제거하고 조직을 투명화한 뒤 형광 표지 단백질로 신경을 시각화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에 1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절단 장치와 3D 이미징 현미경을 결합한 맞춤형 ... ...
인류 최초 관측 'M87 블랙홀' 찌그러진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10
유발된 미세한 왜곡을 포착해야 한다. 또 초장기선 전파간섭계(VLBI) 관측 등을 통해
빛
이 블랙홀 주위를 여러 번 공전한 뒤 탈출하면서 형성하는 구조인 '광자 고리'를 분석하면 블랙홀의 회전을 측정할 수 있다. 연구를 주도한 로한 다할레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연구소 연구원은 "차세대 EHT ... ...
박막 탠덤 태양전지 광전효율 세계 최고 수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9
연구팀은 만들기 쉽고 비용이 저렴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와 더 넓은 영역의
빛
을 흡수하는 CIGS 태양전지를 결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CIGS의 거친 표면 위에 고품질의 페로브스카이트 박막을 결함없이 결합하는 데 성공했다. 이를 통해 실리콘 기반 탠덤 태양전지와 대등한 수준의 ... ...
빛
과 전자 초고속 상호작용 첫 확인…대면적 광전자 소자 개발 길 열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차세대 광전자 소자로 잠재력이 있다고 본 것이다. 루테늄 산화물의 응력을 제어해
빛
과 전자 상호작용 방식을 이방성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설명한 그림. GIST 제공 연구팀은 분자빔 에피택시(MBE) 기술로 타이타늄 산화물 기판 위에 원자층 단위로 성장시킨 루테늄 산화물 박막에서 기존 반데르발스 ... ...
유연 마이크로 OLED, 뇌에 삽입해 뉴런 자극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작은 부위에 정밀하게 전달할 수 있어 뇌 회로를 세밀하게 분석하는 데 적합하다. 또
빛
의 파장을 정밀하게 조절해 복잡한 뇌 기능 연구가 가능하다. 마이크로 OLED는 체내 수분 등으로 전기적 특성이 쉽게 열화돼 생체 삽입형 장치로 활용되는 데 한계가 있다. 탐침 위에 집적하는 공정 최적화도 ... ...
50년 러브버그 연구 美 곤충학자 "살충제 효과 없다…출현 패턴 파악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6
차량에 잘 부딪힌다. 표면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사체나 러브버그 알이 햇
빛
에 의해 달궈지면 산성으로 바뀌어 쉽게 제거할 수 없다. 그 전에 제거해야 한다. 유충일 때는 죽은 식물을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오히려 유익하다." Q. 러브버그를 당장 제거하는 방법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