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압
뉴스
"
볼트수
"(으)로 총 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작은 가속기도 맵다'…수 센티미터로 초강력 빔 생성하는 소형 입자가속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4.15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에 설치된 어웨이크(AWAKE) 실험장비. 플라즈마에서 레이저 펄스로 파도를 일으켜 전자를 가속시키는 방식이다. 소형 입자가속기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ERN 제공 입자가속기는 초전도 자석 등으로 입자를 매우 빠르게 가속해 충돌시켜 우주의 기본 입자 등을 ... ...
중성미자 질량, 수사망 좁혔다…"전자 질량 100만분의 1도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25.04.11
KATRIN 메인 분광기의 내부 전극 시스템을 설치하는 모습. Markus Breig/KIT 제공 과학자들이 현재까지 발견된 우주의 기본입자 중 질량이 정확히 알려지지 않은 유일한 입자인 중성미자의 질량 상한값을 거의 절반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전하를 전달하는 매우 가벼운 입자인 전자 질량의 100만분의 1도 ... ...
전기차 배터리, 소진될 때까지 쓰면 성능 저하…"수명단축으로 이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3.31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에 실린 연구팀의 표지 논문. 포스텍 제공. 배터리 수명을 줄이는 숨겨진 원인이 밝혀졌다. 배터리가 소진될 때까지 쓰면 배터리 성능이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포스텍은 홍지현 친환경소재대학원 배터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김종순 성균 ... ...
번개 맞으면 더 잘사는 나무…"주변 나무 감전시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7
파나마,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등 중미 열대림이 원산지인 알멘드로 나무(학명 Dipteryx oleifera). 최대 55m까지 자라는 큰 나무로 건축용 목재로 쓰이며 아몬드와 비슷한 열매를 만들어 식량도 공급한다. 알멘드로 나무의 열매와 씨앗은 열대우림 포유류의 주요 먹이다. Evan Gora/Cary Institute of Ecosystem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양극재, 폭발 위험 잡는 설계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과리튬소재는 이론적으로 고압 충전을 통해 기존보다 최대 70%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소재다. 전기차에 적용되면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리튬소재는 이론적으로 고압 충전을 통해 기존보다 최대 70% 많은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 ...
주 52시간 예외, 우주기업에도 필요…위반 신고 당하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3.07
지난해 미국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스타십(Starship)이 5차 시험 비행을 위해 발사되고 있다. 스페이스X 제공 지난해 말 한 우주 개발 스타트업은 고용노동부로부터 근로감독을 받았다. '주52시간 근무제'를 위반했다는 신고를 당했기 때문이다. 업체는 당시 자 ... ...
[동물do감] 공룡 닮은 새 '에뮤', 멍청한 새 오명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1
화식조과 조류인 에뮤가 먹이를 얻기 위해 구멍과 바퀴가 난 장치를 조작하고 있다. Fay Clark 영국 브리스톨대 선임강사 제공 오늘날 살아있는 조류 중 공룡과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알려진 화식조과 조류 '에뮤'는 먹이에 접근하기 위해 물리적인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오랜 기간 '세계에서 가장 ... ...
겨울철 전기차 배터리 고속 충전 음극 소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고속 충전 배터리 소재의 한계인 용량과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유기 음극 소재가 개발됐다. 전기차, 드론 분야 등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강석주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팀과 안석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책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강력한 유령입자 '중성미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2.15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바닷속에서 구 모양의 기기를 건져내는 모습이 실렸다. 다른 물질과 상호작용이 거의 없어 ‘유령 입자’라는 별명을 가진 중성미자(Neutrino)를 탐색하는 기기다. 정체가 완벽히 규명되지 않은 우주의 기본입자인 중성미자는 아주 멀리 떨어진 ... ...
지중해 밑바닥서 역대급 고에너지 중성미자 검출
동아사이언스
l
2025.02.14
지중해 해저에 설치된 '큐빅킬로미터 중성미자검출기(KM3NeT)'를 묘사한 그림. 광학 센서를 여러 개 모은 구(球) 형태의 모듈이 긴 줄에 일정 간격으로 매달려 있다. 중성미자가 매우 낮은 확률로 물 분자와 충돌해 이차입자를 만들면 이차입자에서 발생하는 빛을 센서가 감지해 중성미자를 간접적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