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답
논밭
평야
들판
필드
필드워크
전
뉴스
"
밭
"(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땅을 사서 자연에 돌려준다?…국내 첫 '리와일딩' 시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6
고추, 가지 등 여러 채소가 자라는 평범한 농경지의 모습이었어요. 그런데 사실 이
밭
은 아주 특별한 장소입니다. 바로 '야생 신탁'의 첫 번째 대상지이기 때문입니다. 야생 신탁은 우리나라 최초의 야생 영장류학자인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대표를 중심으로 시작된 연구 기획입니다. 부동산으로 ... ...
가뭄으로 줄어든 저수지 물, 탄소중립에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24.05.13
탄소를 방출하는 공급원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농업용 저수지 주변의 논·
밭
면적이 넓은 지역일수록 TOC 농도가 높아진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감 교수는 “수자원 빅데이터와 고급 통계 기술을 이용해 극심한 가뭄으로 인한 물 순환과 탄소 순환의 정량적인 변화를 제시하는 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공염불 된 교육부의 대학규제 철폐
2024.05.08
위해서는 담의 실질적인 기능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우선 내 사과
밭
과 이웃의 솔
밭
사이에 필요한 담의 기능이 분명해야 한다. 담의 기능에 따라 재질과 구조가 결정된다는 뜻이다. 담의 높이도 중요하다. 너무 높은 담은 이웃과의 철저한 단절을 뜻한다. 그렇다고 담이 무작정 낮아야만 ... ...
[특별기고] ①R&D예산 삭감은 '저수지 고갈'시키는 것
2023.10.10
저수지는 쓸모없어 보이는 물을 차곡차곡 채워놓았다가 기를 곡물이 생기면 논과
밭
에 농업용수를 제공하고, 만들 공산품이 있으면 공업용수를 제공하고, 전기가 필요하면 발전기를 돌린다. 이 생태학적인 고리가 크게 훼손되지 않아야 한다. 전략적인 연구과제의 경우 보통 3년에서 7년 정도의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노란 유채꽃 닮은 꾀꼬리버섯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30
꽃 같은 버섯이 풀
밭
을 완전히 뒤덮은 모습이었어요. 과장을 조금 보태면 마치 유채꽃
밭
을 보는 듯한 느낌이었죠. 꾀꼬리버섯 군락지를 몇 번 발견한 끝에 느낀 점은 꾀꼬리버섯이 평평한 마사토질의 토양에서 잘 자란다는 것입니다. 그 외의 지역에서도 꾀꼬리버섯을 몇 번 발견할 수 ... ...
잼버리 열렸던 '새만금'에 폭염·모기가 기승을 부린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9.30
새만금 간척지 조감도. 새만금개발청 홈페이지 제공 ○ 새만금, 드넓게 펼쳐진 여긴 어디? 지난 8월 새만금 간척지에서 세계스카우트 잼버리가 열렸습니다. 전 세계 150 ...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9월 15일호, [특집] 갯벌이
밭
과 도시로? 새만금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하는 공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7.29
운 좋게 발견할 수 있었어요. 그곳은 강원도 철원의 한 자연 휴양림이었죠. 저는 이끼
밭
에 엎드려 열심히 다른 버섯을 촬영하다가 무심코 바닥에 있던 작은 나뭇가지를 보았는데 버섯처럼 보이는 오렌지색 점 두 개가 붙어 있었습니다. 그 나뭇가지를 집어 자세히 관찰해 보니 그토록 만나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2019년 미국의 스타트업 네추럴하이드로전에너지는 네브라스카의 옥수수
밭
과 콩
밭
사이에 미국 최초로 천연수소 탐사 시추공을 뚫었다. Viacheslav zgonnik 제공 현재 말리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천연수소를 찾는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호주와 미국 프랑스와 스페인 접경지대 브라질 등 여러 ... ...
WHO "말라리아 퇴치용 차세대 모기장 사용 권고"
동아사이언스
l
2023.03.16
사용하기 위해 2001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됐다. 조류와 수생 동물에 독성이 있을 수 있어
밭
에 살포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지만 실내에서 사용하면 외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간주됐다. 실제 LSHTM이 탄자니아에서 3만9000여 가구, 베냉에서 5만4000가구를 대상으로 ... ...
위기의 탄소저장고 '이탄지'…기후변화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22.11.07
임업연구사는 "인도네시아에서는 주민들이 벼농사를 짓기 위해 이탄지에 불을 붙여
밭
을 일구는 화전농업을 한다"며 "이탄지가 건조해지며 지속적으로 침식이 일어나는 등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 기후변화로 탄소 300억t 배출…악순환 반복돼 이탄지는 식물의 잔해가 물이 고인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