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뉴스
"
바깥
"(으)로 총 984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곰 털 얼어붙지 않는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02
Jenny E. Ross 제공 추운 겨울에 머리가 젖은 채로
바깥
에 나가면 머리카락이 얼어붙습니다. 그런데 북극곰은 영하 40°C 북극에 살면서 수시로 잠수하는데도 털이 얼어붙지 않아요. 1월 29일 노르웨이 베르겐대 국제연구팀은 북극곰의 털이 얼어붙지 않는 이유는 피부에서 나오는 기름기인 피지가 털에 ... ...
발효의 마법 '장', 과학 만나 바질페스토·뇨끼로도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2.22
과정에서는 이로운 작용을 하는 꼭 필요한 존재입니다. 콩 덩어리가 발효할 때 덩어리
바깥
에서는 주로 누룩곰팡이가 활동합니다. 누룩곰팡이는 콩 덩어리 표면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생긴 곰팡이에요. 콩 덩어리 안쪽에는 고초균이 많이 증식합니다. 고초균은 땅에 많이 사는 세균으로 콩을 ... ...
"SF소설 아냐?"…'철·나트륨·수소' 3중 대기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2.19
나트륨 제트기류는 타이로스의 적도를 따라 타이로스의 회전 방향으로 움직인다. 제일
바깥
층인 수소 바람층의 일부 성분은 우주 공간으로 흘러들어가기도 했다. 세이델 연구원은 "타이로스의 대기는 지금까지 관측되지 않았단 공상과학적인 패턴과 움직임을 갖고 있다"면서 "우리가 이해하는 ... ...
"단단한 지구 내핵, 표면 변형돼 흐르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지구과학과 교수팀은 지진파 분석을 통해 지구 내핵과 외핵의 경계에서 내핵
바깥
쪽 일부분이 변형돼 움직이고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연구결과는 10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지구과학'에 공개됐다. 단단한 고체 금속으로 구성됐다고 추정된 지구 내핵은 액체 금속인 외핵으로 둘러싸여 ... ...
[헬스토크] 새벽에 심해지는 두통, 뇌종양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2.09
두피 등에서 발생할 수 있다. 크게 양성과 악성으로 나뉜다. 양성 뇌종양은 주로 뇌
바깥
에서 발생하며 성장 속도가 느리다. 이 중 뇌수막종이 가장 많고 뇌하수체 종양이나 청신경초종도 흔히 발생한다. 악성 뇌종양은 빠르게 성장할 뿐 아니라 주위 조직으로 침투해 정상 뇌조직을 파괴하기 ... ...
[동물do감] '핵펀치' 사마귀새우, 주먹질 시 자기 주먹은 안 아픈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분석 결과 사마귀새우 주먹에는 두 종류의 층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가장
바깥
부분은 강한 충격을 버틸 수 있는 균열에 강한 광물성 섬유로 구성됐고 안쪽에는 섬유다발들이 층층이 배열돼 있었다. 각 층이 이루는 섬유층의 각도는 조금씩 틀어져 꼬인 형태로 나타났다. 실험 결과 꼬인 층 ... ...
[사이언스영상] 2분만에 침에서 바이러스 찾아낸다
SEIZE
l
2025.02.05
필요하다. 영상은 침이 소용돌이치는 모습이다. 바이러스는 소용돌이 중심이 아닌
바깥
쪽에 있다. 연구팀이 만든 소리 진동 장치는 세균처럼 입자가 큰 불순물은 중앙에 모아서 걸러내고 입자가 작은 바이러스는 밖으로 흘려 보낸다. 마치 혼합물에서 입자가 고운 가루만 따로 모으기 위해 체로 ... ...
[사이언스영상] 꿀렁꿀렁 기어가는 산호
SEIZE
l
2025.02.01
산호초 서식지로 이동하는 것이다. 버섯산호의 움직임은 해파리의 이동방식과 유사했다.
바깥
쪽 조직 일부를 부풀려 바닥과의 접지력을 높인 뒤 몸을 비틀고 수축시키며 몸을 움직였다. 이동속도는 느리다. 청색광을 비출 때를 기준으로 24시간 동안 평균 43.7mm 움직인다. 루이스 연구원은 ... ...
우리가 몰랐던 난자와 정자의 창조적 팀플레이
2025.01.25
정자의 수는 200개 남짓이다. 지금부터는 더 강한 힘으로 난자를 둘러싼 난자 외피, 그
바깥
층인 난모세포층과 투명대를 뚫어 난자 세포막과 만나는 것이 관건이다. 이때 도움을 주는 것도 프로게스테론이다. 난자 외피층이 내뿜은 프로게스테론은 정자 꼬리의 칼슘(Ca2+) 이온 채널 단백질인 '캣스퍼 ... ...
생선에선 왜 비린내가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1.25
살지 못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생선에 소금을 가득 뿌립니다. 생선에 소금을 뿌리면 몸
바깥
의 소금 농도가 높아져 몸속 수분을 빼낼 수 있어요. 그럼 미생물이 살지 못해 TMAO가 분해되지 않아 비린내의 주범인 TMA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월 15일, [질문하면답해ZOOM]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