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르뽀
르포르타쥬
르포르타주
실록
뉴스
"
르포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르포
] 원자 수놓아 맥주잔 그린다…獨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막스플랑크 양자광학연구소(MPQ) 양자인터넷 연구실 벽면에 붙은 사진. 원자를 픽셀로 구현해 맥주잔(아래) 등을 표현했다. 기껏해야 수십 픽셀(화소)로 거품 가득한 맥주잔 두 잔이 맞부딪히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 단순하고 서툴게까지 보이는 이 그림을 방문객들은 명화를 마주하듯 좀처럼 눈을 ... ...
천연가스 개발 현장이 탈탄소 허브로 탈바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8.21
다윈 LNG 터미널 내에 위치한 바유운단 가스전과 연결된 파이프라인. 바유운단 가스전이 고갈되면 이 파이프라인을 통해 포집한 CO2를 바유운단으로 주입한다. SK E&S 제공. 호주 대륙의 북단 적도와 가까운 북준주 다윈시내에서 자동차로 40분 가량 떨어진 해안에 자리잡은 다윈항 인근에는 약 60만평 ... ...
소행성으로부터 지구 방위 실험 '다트'…우주선·소행성 충돌 흔적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3.07.24
시속 1.5km 미만의 느린 속도로 떠다니고 있다"고 밝혔다. 관측된 암석의 총질량은 디모
르포
스 소행성 전체 질량의 0.1%에 해당하는 500톤(t) 가량이다. 암석들은 충돌로 인해 부서진 조각이라기보다는 충돌 당시의 충격으로 소행성 표면의 암석이 튀어오른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암석들이 어떻게 ... ...
과학기자협회, 2023 상반기 과학취재상에 '소는 억울하다' 등 4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6.29
응급환자가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떠도는 이른바 ‘응급실 뺑뺑이’ 문제를 현장
르포
와 환자 실명 인터뷰를 통해 생생히 전달함과 동시에 심층적인 원인 분석과 대안 제시를 통해 언론 본연의 탐사보도 역할에 충실했다. 백영미·송종호 뉴시스 기자의 ‘멸종위기 소아과’는 소아청소년과가 ... ...
이미지를 10초만에 텍스트로...AI 활용 영역 무한 확장중
동아사이언스
l
2023.06.23
김승환 LG AI연구원 비전랩장이 캡셔닝 AI를 시연하고 있다. 학회장 옆에 정박하고 있는 디즈니 크루즈를 찍은 사진을 정확하게 설명하고 있다. LG 제공. 20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회(CVPR) 2023’ 엑스포에는 10시 오픈을 앞두고 전세계 인공 ... ...
日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늦춰질 듯..."IAEA 보고서 지연"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 연구원들이 베타핵종분석실에서 해수 삼중수소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해수 시료를 증류하고 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일본은 이르면 올 봄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의 방사능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할 계획임을 내비쳤다. 하루 약 170t 발생하는 오염수 보관을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발휘하지요." Q . 앞으로의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앞으로 1, 2년 정도는 디모
르포
스를 지속적으로 관찰하며 DART 미션을 잘 마무리해야 할 것 같아요. 이외에는 두 학생과 각각 크레이터와 암석에 대한 연구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고 있는데 그 연구도 잘 했으면 좋겠어요. 수학자인 남편과도 SNS ... ...
[프리미엄 리포트] 지하 1000m 실험실에서 우주기원 밝힐 '유령' 찾는다
과학동아
l
2022.11.12
IBS 지하실험연구단의 고심도 지하실험시설 ‘예미랩’에서 가장 큰 실험구역인 LSC 실험구역에 기자와 관계자가 서 있다. 과학동아 DB 예미산 지하 1000m에서 가장 완벽한 어둠을 만났다. 실험실로 이어진 터널에는 빛이란 게 없었다. 휴대전화 조명에 의지해 터널을 빠져나오자 높이 28m, 지름 20m의 ... ...
우주선 소행성 충돌, 궤도 바꿨다…NASA "지구 방어 실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0.12
작은 소행성으로 지름 780m 크기의 디디모스 소행성을 공전하고 있다. 디디모스와 디모
르포
스는 지구 근접 천체(NEO)로 분류돼 있지만 실제 지구 충돌 위험은 없는 것으로 평가된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은 다트 임무의 정확한 결과를 평가하기 위해 2024년 10월 헤라(HERA) 탐사선을 보낼 예정이다. ... ...
NASA 우주선 소행성 충돌 순간, 큐브위성 '리차큐브'가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2.09.28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다트(DART) 우주선이 소행성 디모
르포
스에 충돌하는 순간을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OWL-Net)로 관측한 모습. 천문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