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뉴스
"
길
"(으)로 총 3,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단·부장급 △감사부장 박근우 △선진원자로평가단장 허병
길
△폐기물·해체규제단장 정해용 △연구정책단장 허창욱 ▽실·팀장급 △선진평가총괄실장 지용기 △선진원자로평가실장 김관영 △고준위폐기물평가실장 이정근 △방사선·폐기물평가실장 송민철 △이동사용방사선평가실장 양정선 ... ...
금 나노클러스터로 전기전도성 정밀 제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9.01
결과를 뒷받침한다. 구리 이온을 넣은 구조에서 구리 이온의 전자들이 전자가 흘러가는
길
을 잘 만들어 전기가 가장 잘 통하도록 도와준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번 연구는 나노클러스터 간 거리뿐 아니라 금속 이온을 바꿔 전자 구조까지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차세대 나노 전자소자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혼자가 아니다…'1조 미생물과 함께 사는 생태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8.30
미생물 군집의 구성과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나무 생리학과 숲 생태를 새롭게 바라보는
길
을 열 것”이라며 “환경 미생물학의 새로운 개척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doi.org/10.1038/s41586-025-09316- ... ...
상용 인터넷망에서 양자신호 97% 정확도로 보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Q-Chip은 기존 네트워크 인프라와 운영 체제를 활용한 양자 인터넷으로 향하는 실용적인
길
을 제시한다"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ence.adx617 ... ...
중력파 검출 10주년…매료된 여대생, 중력파 연구 최전선에
동아사이언스
l
2025.08.29
27일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이 중력파 검출 10주년을 기념해 서울 관악구 서울대에서 개최한 워크숍에서 만난 이형목 서울대 중력파우주연구 ... 중력파관측소(LIGO·라이고)’. 라이고는 미국 워싱턴주와 루이지애나주에 각각 설치된
길
이 4km의 ‘L’자형 진공터널이다. 사진 출처 위키미디어 ... ...
빗자루 타는 마법사 말벌? 2025 올해의 야생동물 사진 본선 진출작
동아사이언스
l
2025.08.28
longnose gar)와 수컷 롱노즈가들의 모습이다. 롱노즈가는 북미의 강과 호수에 사는
길
고 뾰족한 주둥이를 가진 물고기로, 공룡 시대부터 살아온 ‘살아 있는 화석’으로 불린다. 롱노즈가가 사는 수정처럼 맑은 이체터크니강은 플로리다의 컬럼비아 카운티에 있는 담수 용천이 흘려보내는 물줄기 ... ...
'목에 87cm 가시' 가시갑옷 중무장한 1억6500만년전 안킬로사우루스
동아사이언스
l
2025.08.28
증거로 해석된다. 연구팀은 안킬로사우루스의 충분한 골격을 확보하지 못했지만 몸
길
이 약 4m, 높이 약 1m, 무게 약 2톤으로 추정하고 있다. 육중한 가시갑옷은 자기 모습을 뽐내기 위한 전시와 실용적인 방어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연구팀은 "후기 안킬로사우루스는 초기보다 단순하고 덜 ... ...
중력파로 노벨 물리학상 받은 라이너 바이스 92세로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25.08.27
때문이다. 레이저 빛을 활용해 중력파를 검출하는 라이고는 미국 동서에 각각 위치한
길
이 4㎞에 이르는 ‘L’자형 진공터널이다. 같은 광원에서 나온 레이저를 분리시켜 다른 방향으로 보낸 후 다시 거울로 반사시키고 한곳으로 모아 간섭을 일으켜 미세한 파동의 변화를 감지하는 ‘레이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출연연 망친 PBS 굴레에서 '잘' 탈출하기
2025.08.27
것이라는 기대도 온전한 착각이다. 이제 정말 출연연을 ‘추격형 과학기술 정책’에
길
들어버린 관료의 속박에서 자유롭게 만들어야만 한다. 그래야 21세기의 국가 발전에 필요한 과학기술을 기대할 수 있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2012년 대한화학회 ... ...
남극 빙하서 깨어난 미생물, 인체에 붙어 적혈구 파괴
동아사이언스
l
2025.08.27
빙하코어는 장보고기지가 설립된 2014년 극지연구소가 남극에서 처음으로 자체 확보한 총
길
이 210m의 시료다. 빙하코어는 빙하를 원통형으로 시추해 채취한 것으로 각 층에는 형성 당시의 기후와 생물 정보가 보존돼 있다. 약 2000년 전 환경을 연구할 수 있는 시료다. 연구팀은 스틱스 빙하코어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