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부
일부분
일부
부분
음부
뉴스
"
국소
"(으)로 총 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개골 손상돼도 전자약 '경두개직류자극' 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12
통과한 직류가 치료 목표점에 자극을 가해 치료 효과를 낸다. 뇌의 특정 부위를
국소
적으로 안전하게 자극해 뇌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두개직류자극은 뇌질환 발생 후 운동기능, 인지기능 등이 저하된 환자에게 적용한다. 두개골 손상이 있으면 전류 흐름이 변해 치료 목표점이 아닌 다른 ... ...
'10분 수술 컷' 남성 피임법, 임상에서 최소 2년간 효과 지속
동아사이언스
l
2025.04.25
최소 침습시술을 통해 정관에 이식된다. 시술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은 10분 정도다.
국소
마취를 한 상태에서 시술이 진행되기 때문에 환자는 정신이 깨어있는 상태에서 시술을 받을 수 있다. 아담은 정자 이동을 차단하는 최초의 남성 피임법은 아니다. 정자 이동을 막는 기존의 정관 수술들이 ... ...
[헬스토크] 입속에 생기는 구강암은 예방 가능…흡연 시 10배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25.04.20
병변이 진행돼 편도나 혀뿌리 쪽으로 진행되면 내시경과 영상검사를 받아야 한다.
국소
마취 하에 병변을 일부 떼어내 현미경으로 살피는 조직 검사도 시행한다. 병변의 정확한 침윤 범위와 림프절 전이 여부, 폐 전이 등의 전신 전이 여부를 확인하려면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 ...
"미세먼지 단기간 노출되면 고령층 심혈관질환 위험 높아져"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연구에 참여한 김민채 서울대 의과대학 의학과 연구원은“연구를 통해 상부 기도에
국소
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진 직경 2.5~10μm 범위의 미세먼지 또한 고령 인구와 같은 취약 집단에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라면서 "직경 2.5~10μm 범위의 미세먼지는 기도 기능 ... ...
겨울 강추위에도 한랭질환자 전년 대비 16.5%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3.11
추위가 직접 원인이 돼 인체 피해를 주는 질환으로 저체온증(전신성), 동상‧동창(
국소
성) 등이 있다. 질병청은 한랭질환에 대한 주의 환기 및 예방 유도 등을 목적으로 2013년부터 매년 겨울마다 감시체계를 운영하고 있다. 지자체가 전국 500여 개 응급의료기관과 협력해 한파로 인한 건강 피해를 ... ...
뇌에서 합성되는 여성 호르몬, 식욕 억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20
난소에서 가장 많이 생성된다. 하지만 뇌의 신경세포를 포함한 다른 신체 조직에서도
국소
적으로 에스트로겐이 합성된다. 연구팀은 뇌의 신경세포에서 합성되는 뇌 유래 에스트로겐이 식욕과 연관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아로마타제라는 효소는 뇌 신경세포에서 에스트로겐이 합성되는 데 ... ...
양자컴퓨팅이 '우주의 종말'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0
우주는 빅뱅 이후 냉각돼 '가짜 진공(False vacuum)' 상태에 있다. 진공은 에너지 수준이
국소
적으로 최솟값을 갖는 상태를 말한다. 가짜 진공은 에너지 수준이 더 낮은 상태인 '진짜 진공(True vacuum)'으로 붕괴될 수 있다. 홍성욱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우주가 가짜 진공 상태에 있다면 언젠가 ... ...
머리카락처럼 가는 바늘로 잇몸병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07
치주과 교수 연구팀이 마이크로니들 기업 주빅과 공동 연구를 통해 치주염 치료를 위한
국소
항생제 전달 패치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치주염을 치료하는 기존 주사형 치료법은 통증이 크고 사용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 연고형 치료제는 점막에서 쉽게 떨어져 나가 약물 전달 효율이 낮다. ... ...
[과기원NOW] 바이오머티리얼즈 젊은 연구자상에 장진아 포스텍 교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통해 '자가 가교형 단백질 하이드로젤'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단백질 하이드로젤은
국소
부위를 치료하기 위해 약물을 주입해 사용하는 단백질 젤이다. 연구팀은 말랑한 젤 형태의 단백질에 약물을 넣어 원하는 부위에만 약효를 퍼지게 하고 독성은 최소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 ...
[과기원NOW] 포스텍, 친환경 붕소 제거 흡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8
있었다. 연구팀은 특수 흡착 소재를 코팅한 다공성 스펀지를 개발했다. 산성도를
국소
적으로 조절해 물속의 중성 붕산을 붕산염으로 바꾸고 흡착하는 원리다. 별도 장비 없이 물에 담그기만 하면 빠르게 붕소를 흡착한다. 화학약품 사용량도 크게 줄였다. 임 교수는 "음용수 정제뿐 아니라 반도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