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상상
환상
백일몽
가상
추측
망상
뉴스
"
공상
"(으)로 총 138건 검색되었습니다.
7월 과학기술인상에 노준석…초박막 메타렌즈 대량 생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메타렌즈 대량 생산을 세계 최초로 성공한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앞으로
공상
과학 영화에서나 볼 수 있었던 초소형 증강현실 안경과 초현실 홀로그래피와 같은 미래 광학기기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수상 소감을 밝혔다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어린이과학관, 유아 감성형 과학도서 해설프로그램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16
'코뿔이'가 병원에서 뒤바뀐 소동을 다룬다. 구연 내용은 '얼큰이와 코뿔이'라는
공상
과학(SF) 그림책으로도 출간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국산 거대언어모델(LLM)을 탑재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자율주행로봇 '나르고'를 17일부터 창의나래관에서 상설 전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나르고는 자율주행 ... ...
한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 40% 줄이는 캡슐
과학동아
l
2024.02.03
Science Advances 제공 하나만 먹어도 배부른 알약이 나온다면 어떨까. 한번쯤 상상해본
공상
과학이 현실이 됐다. 슈리아 스리니바산 미국 하버드대 생명공학과 교수와 조반니 트라베르소 MIT 기계공학과 교수 등 공동연구팀이 한 알만 먹어도 음식 섭취량을 40%나 줄일 수 있는 알약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 ...
"사상 최대 고대 상어 메갈로돈, 더 날씬하고 더 길었다"
연합뉴스
l
2024.01.22
세계 바다를 재배한 최상위 포식자로 몸길이가 15~20m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소설과
공상
과학 영화에서는 백상아리를 확대한 체형의 초대형 괴물 상어로 묘사돼 왔다. 연구팀은 그러나 메갈로돈의 화석 기록은 이빨과 척추뼈 등으로 전체 형태를 추정하기에는 다소 불완전한 데이터라며 ... ...
오픈AI 직원들, 새 AI 모델 안전성 우려...“인간 통제 넘어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11.24
두는 것보다는 인류를 없애는 것이 더 나은 결정일 수 있다고 AGI가 판단할 수 있다”며 “
공상
과학소설처럼 들리지만 AI의 위협은 실존한다”고 말했다. 규제기관들이 AI 시장에 대해 결코 가볍게 대처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한편, 오픈AI는 챗GPT를 개발하면서 “인류의 이익을 위해 안전하고 ... ...
내 아이가 ADHD라면…"치료 피하지 말고 학교·병원과 소통해야"
연합뉴스
l
2023.08.14
교수는 "ADHD 같은 경우 과잉행동이나 충동적인 면이 부각되지 않는 아이들은 단순히
공상
에 잘 빠지거나 좀 더 부주의한 정도여서 '조용한 ADHD'인 경우도 상당수 있다"라며 "질환에 대해 일반화하기보다는 아이들의 개별 문제를 교정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 ...
바이오제약사 '우주 러시' 이유 있다...우주의학 연구 '봇물'
동아사이언스
l
2023.04.07
“작년에 이미 7개의 우주의학 실험을 수행했으며 수가 더 늘고 있어 더이상
공상
과학 소설에서만 그려지는 모습이 아니다”고 말했다. 독일 제약사 머크는 면역항암제 ‘키트루다’를, 영국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는 신규 약물전달기법을,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는 당뇨병 치료제를 우주에서 ... ...
동아사이언스·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 SF 문화 활성화 맞손
수학동아
l
2023.03.15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QNS·단장 안드레아스 하인리히)과 동아사이언스(대표 장경애)가
공상
과학(SF) 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최근 체결했다. 서울 이화여대에 위치한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표면과 계면에서 원자 단위 양자 효과를 제어하는 연구를 한다. 양자 과학과 나노 과학의 ... ...
달 먼지로 태양 가린다...우주로 눈돌리는 기후변화 대응
동아사이언스
l
2023.02.13
지구에 닿는 햇빛을 크게 막을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 대해 “일부 햇빛을 막는다고
공상
과학영화 ‘설국열차’처럼 지구가 영구적으로 춥고 사람이 살 수 없는 행성이 되진 않는다”면서 “우주는 기후변화 대응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들보다 앞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모식도에서 회로 사이를 뚫고 지나가는 빛줄기를 담은 모습을 실었다. 웜홀은
공상
과학(SF) 영화나 소설에서 굉장히 먼 거리를 순간이동하는 통로로 묘사되곤 했다. 성간 여행이나 행성 간 여행, 은하에서 다른 은하로의 여행 등이 가능한 장면을 보면서 언젠가는 우주에서 웜홀을 활용한 여행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