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움푹한 곳"(으)로 총 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술 잘 못하는 분도 할수있는 마술 방법 1탄기사 l20200403
- 1.가운데 컵에 4개의 공 중 1개를 넣어놓는다. 2.그 상태로 관중들에게 보여준다. 3.가운데 컵 위에(컵이 살짝 움푹 파여있어야한다.그 곳에다가 공을 놓아야한다.)공을 놓는다. 3.두 개의 컵을 덮는다. 4.컵에 구멍이 없음을 보여주고 쌓아놓은 컵 순서로 바딕에 내려논다.이때,가운데 컵은 가운데로 가야한다.(사실,밑으로 내려간 게 아니라 ...
- [섭섭박사님과 함께하는 메이커스쿨]드론 만들기기사 l20190805
- 들었습니다. 우선 기억에 남는 것은 식물의 꽃가루를 드론을 통해 이동해 주어서 식물이 수정하는 역할도 한다고 합니다. 드론은 높은 곳에서 사진 찍는 역할을 주로 한다고 생각했는데, 생물의 성장에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니 정말 신기했습니다. 우선 섭섭박사님께서 드론 부품이 들어있는 상자 겉면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상자는 흰색과 초록색이 섞여있는 ...
- 새끼 박새들 무사히 이소 성공기사 l20190618
- 족히 될만큼 아래를 이끼류의 풀을 깔았고 , 제일 위로는 동그랗게 부드러운 동물의 털이나 솜뭉치 혹은 머리카락을 물어와 알을 낳는 곳을 더 잘 꾸며놓았어요. 갈색의 점이 박힌, 엄지손가락 한마디 정도 크기의 알이 무려 6개. 작고 작은 박새가 6개나 알을 낳다니!! 2019년 5월 24일 낮시간에 기온이 높아지면 어미새는 둥지를 잠깐 벗어나 먹 ...
- 씽씽~ 달리는 거북이 자동차 만들기!기사 l20181127
- 끝을 잡아당기면 쉽게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힘을 줄여 주는 것과 같은 기계적 이득은 없지만 방향을 바꿀 수는 있습니다. 움푹 파인 곳에 짐이 있거나 바닥이 미끄러울 때 유용합니다. 반면 움직 도르래는 지지대를 사용해서 힘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이 도르래가 거북이 자동차 안쪽에 있었는데, 눈치채셨나요? 이 도르래는 거북이 자동차를 움직 ...
- 스타워즈 우주선 파헤치기(공화국 함선 편)포스팅 l20170220
- 있는 지휘실을 주로 씁니다. 위, 위, 위 사진을 다시 가져와보겠습니다. 함선 양 쪽에 움푹 들어간 부분 보이시죠? 그곳이 바로 격납고 출입구입니다. 평소엔 닫혀있다가 전투가 시작되면 열고 투명 막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죠. 그런데 ... 보통 사람들이 스타워즈 대포는 레이저가 나간다고 생각하는데, 원래 에너지가 나가는 것입니다. ...
- 지혜로운 선사 시대 사람들을 만나러 떠나요!기사 l20170125
- 이번 기사에서는 지난 1월 4일 오늘 가족과 함께 신석기 시대의 생활을 직접 체험한 암사동 선사 유적지를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그 곳에서 체험한 두 가지 활동을 소개해 드립니다. 먼저 ‘선사인의 겨울나기’라는 활동을 소개해 드리고 문화유산 해설사 선생님께서 해설을 ... 선사시대 사람들은 움집 안에서 생활 했고 불을 피울 때 필요 ...
- 제3차 화석 탐사: 태백산 직운산층에서 만난 삼엽충과 완족류 5억년 전 태백의 기억을 더듬다기사 l20160421
- 해당하는 암석층이 즐비하게 널려있는 곳으로서 삼엽충을 비롯해서 완족류, 두족류, 복족류 등 매우 다양한 화석이 산출되는 곳이라고 한다. 지구 상에서 제일 먼저 출현한 ... 30여 개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곳에서 나온 삼엽충 화석을 연구한 결과 현재 ... 나만의 착각은 아니었다. 지금 내가 서 있던 이 ...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1130
- 지구 표면은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산, 들, 강, 호수로 이루어진 육지는 높고 낮은 곳이 섞여 울퉁불퉁한 형태지요. 물로 가득한 바다 역시 그 속은 높은 곳과 편평한 곳, 움푹 패인 곳 등 다양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답니다.[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23호(2015년12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
- 지하철 8호선 끝에는 암사역이 있습니다. 암사역 1번 출구로나와서 02번 마을버스 환승하탐사기록 l20141101
- 8호선 끝에는 암사역이 있습니다. 암사역 1번 출구로나와서 02번 마을버스 환승하고 3정류장만 더 가면 나오는 곳이 암사 선사유적지입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한반도에 우리 조상님들이 살기 시작한건 언제 부터일까요? 구석기 시대부터 유적이 발굴되기때문에 구석기인들도 살고 있었던건 맞지만, 우리의 직접적인 조상은 아니라는 군요. 두개골형상을 조사해 ...
- 바람 따라가는 똑똑한 나방어린이과학동아 l20080430
- 못했지만, 과학자들은 포보스에 얼음과 탄소가 풍부하게 매장돼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답니다. 포보스 한쪽 끝에 움푹 파인 곳은 ‘스티크니’라는 크레이터(운석구덩이)로, 폭이 9㎞나 돼요. 1877년 포보스를 처음 발견한 미국의 천문학자 아사프 홀의 부인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요. 그리고 앞쪽에 보이는 푸르스름한 부분은 다른 곳에 비해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