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쓰레기"(으)로 총 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서운 꿈..포스팅 l20250812
- 다이소에서 꼬치를 사고 구워먹었어욤. 근데 그 약간 복도같이 되있는 다같이 쓰는 캠핑칸데 저흰 한 방에서 잤거등요? 근데 아빤 쓰레기 버리러 밤에 나가셨고, 엄만 배웅해주러 복도까지 나갔는데 뒤에서 어떤 아저씨가 다가오는데 딱 그냥 불길한 느낌이 드는거에요 들자마자 엄마가 칼에 찔렸고,그 아저씨를 신고하려고 119를 막 찾고 있었어요. 근데 아 ...
- 민달팽이포스팅 l20250811
- 쓰레기 버리러 아빠랑 나갔는데 민달팽이가 있어요!! 사진 출처:아빠 핸드폰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작동합니다. 실제로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AI는 자율적인 판단보다는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스스로 무언가를 ‘쓰레기’라고 판단하는 일은 없습니다.”이 답변을 들으며, AI는 단순히 똑똑한 기계가 아니라, 사람이 정한 기준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동하는 ‘도구’라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저는 AI에 대해 더 깊이 배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것입니다. 저의 인공위성은 내부에 든 공기통으로 우주에 있는 쓰레기까지 이동하여 그물로 포획한 다음 꿀꺽 먹습니다. 먹은 우주 쓰레기는 필요한 부품만 로봇팔로 철통안에 보관되고, 나머지는 불에 타서 없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인공위성의 이름은 "꿀꺽~~호"입니다. 제 아이디어는 3등이었습니다. 마지막 질문 시간에는 우주기자단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1호'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먼저 위성의 우주쓰레기 인식장치가 우주쓰레기를 인식하고, 큰 쓰레기는 바로 그물로 가고 작은 쓰레기는 집게발 속 관을 타고 그물로 가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제가 생각지도 못한 2등을 하여 선물을 받게 되었습니다. 선물은 우산이었습니다. 1등은 박한별 기자님께서 하시게 되었습니다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수거 인공위성>총처럼 발사할 수 있는 소형 로봇들이 들어가 있고, 본체에서 그 로봇들을 발사합니다. 그러면 소형로봇이 우주쓰레기에 붙어서 대기권으로 밀어내는 인공위성 입니다. 뽑히지 못 하였을 때는 ‘열심히 했어도 조금 더 열심히 하면 좋았을 텐데’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단체사진을 찍는 시간도 가졌습니다.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이유는 주인공들이 우주쓰레기 청소부 였기 때문입니다. 출처: 넷플릭스 그 다음에는 조금 특별한 미션을 했습니다. 바로 우주쓰레기를 수거하는 인공위성을 그리는 것 이었습니다. 1,2,3등에게는 상품도 있다고 해서 열심히 했지만, 그림 실력이 부족해 3등 안에 들지는 못했습니다.다음은, 오늘의 하이라이트인 시설 투어를 했습니다. 첫 번 ...
- 우주복에 숨은 과학 원리기사 l20250731
- 우주복에 사용되는 섬유는 평소에 입는 일반 의류와는 달리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외부층은 작은 운석이나 먼지,우주쓰레기 등으로 부터 우주인을 보호하기 위해 고강도 섬유 계열인 우레탄 코팅 나일론이나 케블라,테플론 섬유 등의 신소재를 이용합니다. 중간층은 단열재로 구성되어 극한의 온도 변화에도 채온을 유지할수 있도록 열을 반사하고 흡수 ...
- 코오롱의 에너지 놀이터, 김천 에코 롱롱 큐브! 그리고 송하율 연구위원님 강연기사 l20250727
- TLV가 나왔을까요? 바로 코오롱이 한빛-TLV에 복합소재로 만든 노즐, 압력탱크, 노즈콘 등을 제공 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우주 쓰레기 처리 위성 영상이 나오고 강연이 끝났습니다.이번 현장미션은 이렇게 마무리되었습니다. 예정되있던 마그네틱 큐브 만들기는 시간 관계상 못했습니다. 이번 강연은 지금까지 알고있었던 우주 관련 지식을 정리하는데 ...
- [어과동500호]인류-우주에 인공섬을 만들다!기사 l20250716
- 있습니다. 앵 커 : 네, 현재 분위기는 어떤가요? 한민우 : 분위기는 매우 뜨겁습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많은 이상기후와 쓰레기문제, 사막화문제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인공섬의 필요성이 절실한데요, 시민들은 반대로 지구에는 아무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정부는 건설을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앵 커 : 네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