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포
포
캔버스
d라이브러리
"
화포
"(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신기전’영화는 조선의 새로운 화기 개발을 두려워한 명나라 황실이 극비리에 조선의
화포
연구소를 습격하는 이야기로 시작한다. 이때 연구소 도감 ‘해산’ 은 신기전 개발의 모든 것이 담긴 ‘총통등록’ 을 외동딸 ‘홍리’ 에게 들려 피신시키고 자신은 자폭한다. 명나라는 계획에 실패하자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철갑선인 거북선을 100인치 스크린에서 실감나게 느낄 수 있다. 내부를 살펴볼 뿐 아니라
화포
발사를 가상 체험할 수 있다.중생대 공룡 화석 중에는 진품 비율이 90%가 넘는 초식공룡 에드몬토사우루스를 주목할 만하다. 길이가 12m에 이르는 이 공룡은 척추 뼈에 티라노사우루스한테 물린 이빨자국이 ... ...
스크린 속에 살아난 세종시대 로켓 신기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것은 ‘사전총통’이다. 화약의 힘으로 여러 발의 화살을 한꺼번에 날릴 수 있는 개인용
화포
로 현대의 산탄총(샷건)과 유사하다. 길이 26.1cm, 구경 2.2cm 정도의 소형 화살(세전) 4개를 한꺼번에 발사할 수 있었다.사전총통은 소신기전과 유사한 성능을 갖췄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다. 신기전이 로켓의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당당히 왕위에 오른 정조 이산. 그가 동·서양의 과학기술을 혼합해 당시 첨단무기였던
화포
에도 맞설 수 있는 수원 화성을 건설한 이유는 어떤 위협에도 굴하지 않는 그의 의지를 만방에 선포하려는 것은 아니었을까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발견합니다. 스페인의‘무적함대’는 중세의 바다를 지배했으며 그보다 더 우수한 배와
화포
를 만든 영국은 16세기 이후 세계 최고의 강대국으로 떠오릅니다.무적함대유럽국가들이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기 시작한 16세기, 가장 우수한 함대를 가진 국가가 가장 강한 국가였다. 16세기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발에 힘썼다. 1380년 왜구들이 지금의 군산인 진포에 침입했을 때 직접 군사를 이끌고
화포
를 이용해 적을 물리쳤다. 그가 개발한 화약 기술은 조선시대로 고스란히 이어져 임진왜란 때 왜구를 물리치는 데 큰 역할을 했다.조선의 다 빈치 이천(1376〜1451)세종대왕 때의 눈부신 과학 발전은 ... ...
프랑스의 과학향기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엔지니어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앵제니에르’(Ingenieur)는 16세기에 생긴 말인데
화포
나 전쟁도구를 뜻하는 ‘앙쟁’(engin)이라는 단어에서 나왔다. 앙쟁은 라틴어의 ‘ingenium’에서 온 말로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재능(talent)을 뜻한다. 그러니까 재능이란 말에서 전쟁도구란 말이 나왔고 이런 도구를 ... ...
우리가 몰랐던 거북선의 참모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6호
돌격선의 역할에 충실했을 뿐 조선 수군의 주무기는 판옥선이었습니다. 튼튼하고
화포
를 쏘기도 좋았으니까요. 하지만 덩치가 너무 커서 속도가 느렸는데 이 단점을 재빠른 거북선이 보완해 주었던 것이랍니다.이밖에도 거북선에 대해 과장된 묘사나 잘못된 해석이 많은데요. 아무래도 임진왜란 때 ... ...
조선은 최고의 화약 개발국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최고를 자부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났기 때문 입니다. 이미 고려 때부터 최무선이 개발한
화포
는 적들을 혼비백산하게 만들었거든요. 알수록 놀랍고 흥미진진한 우리 조상들의 무기 이야기는 다음 회에 또 계속됩니다. 기대해 주세요〜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당시 가짜를 직접 제작한 공돌상 신모씨의 주물 공장에선 총통과 갑옷, 측우기, 물시계,
화포
, 청동거울, 청동가위 등 가짜 금속공예품 1백여점이 발견되기도 했다.가짜 여부를 놓고 가장 뜨겁게 논쟁이 벌여졌던 경우로는 1994년 혜원 신윤복의 ‘속화첩’(俗畵帖) 논란을 들 수 있다. 당시 일본에서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