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수"(으)로 총 8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십자로 이어진 통나무,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칼람보 폭포 일대는 중요한 고고학 유적지다. 잠비아와 탄자니아 국경 인근, 탕가니카 호수 남동쪽에 위치한 이 폭포 주변은 200만 년 전부터 5만 년 전까지 현생 인류 조상을 비롯한 고인류가 살았던 곳이다. 이곳에서 역사상 가장 오래된 목조 구조물이 발견됐다. 로런스 바햄 영국 리버풀대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원주민들이 식수난과 자연환경 파괴에 따른 피해를 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소금호수에서 리튬 1kg을 생산하려면 약 2200L의 소금물을 증발시켜야 합니다. 보고서에서는 “원래 지하수로 스며들었어야 하는 물이 공기 중으로 증발되면서 리튬 채굴 지역의 농수가 부족해 작물이 마르고, 홍학, 여우,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하나의 호로 이뤄진 도형이에요. 부채 모양이어서 부채꼴이라고 불러요.삼각주★ 강이나 호수가 바다와 만나는 지점에 흙이 쌓여 만들어진 삼각형 모양의 지형이에요.대기★ 천체의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기체예요. 질량★ 장소나 상태에 따라 달라지지 않는 물체의 고유한 양이에요. 킬로그램(kg) ... ...
- [최신 이슈] 해결 못한 후쿠시마 오염수 의문들 AS 해드림!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낮추기 위해서는 처리수의 희석이 필요한데, 배출 농도로 희석한다면 그 양이 매년 석촌호수 2개 이상을 채울 만큼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Q.오염수를 꼭 바다에 방류해야 할까 그렇다면 꼭 바다에 방류해야 할까요? 조 교수는 역대 원전 사고인 1979년 미국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19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몸 속으로 떠나는 여행! 우리 몸 탐험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바이러스학과 장 미셸 클라베리 교수팀은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약 4만 5000년 전 호수에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바이러스를 발표했습니다. 영구동토층이란 일년 내내 온도가 영하인 토양층을 말해요. 연구팀은 단세포 생물인 아메바 배양액에 영구동토층에서 가져온 시료를 넣고 아메바의 ... ...
- [인터뷰] “인류세의 표준 지층은 캐나다의 크로포드 호수”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지역들은 모두 개성있고 훌륭한 퇴적층을 가졌다. 그러나 인류세의 증거가 크로포드 호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났다. 남극 팔머 빙하코어의 경우, 인류 활동 흔적인 중금속이 타 지역에 비해 적었다. 폴란드의 토탄 습지는 퇴적층이 분해돼 매해의 기록이 남아있지 않았다.” Q. 마침내 표준 ... ...
- [과학뉴스]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최초로 태양의 부채살빛 관측!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퇴적암을 발견했어요. 미국항공우주국은 수십억 년 전 화성에 얕은 호수가 존재했고, 호수의 파도가 바닥을 휘저으며 새겨진 물결 무늬가 암석물로 굳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 애쉬원 바사바다 연구원은 “그간 큐리오시티 임무를 통틀어 물과 파도가 존재했다는 가장 확실한 ... ...
- [과학뉴스] 전 세계 호수 절반이 말라가는 중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과 우즈베키스탄의 접경지대에는 ‘아랄해’라는 거대한 호수가 ‘있었다’. 1998년엔 면적이 약 6만 8000km2에 이르는 세 ... “세계 인구의 4명 중 한 명인 20억 명이 수량이 줄어든 호수 유역에 살고 있다”며, “호수 수자원이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출발한 서양인들이 만나 다채로운 삶의 이야기가 펼쳐지는 곳이에요. 밤이 되니 호수 위 너른 하늘로 별들이 쏟아졌어요. 제가 한 여행자에게 북두칠성을 찾아주자, 이내 그는 북극성은 어디에 있냐 묻더라고요. 북극성. 생각해보면 북극성이 특별한 이유는 수많은 별, 즉 항성 중에 지구라는 행성의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고도가 낮은 북반구 지역에 바다가 생겼습니다. 남반구의 헬라스 분지도 거대한 호수가 됐죠. 미국의 SF작가 킴 스탠리 로빈슨의 작품처럼 ‘붉은 화성’에서 ‘푸른 화성’으로, 다시 ‘초록 화성’으로 변해가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목격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탐사했던 화성의 황량하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