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의
반감
싫음
원한
증오
d라이브러리
"
혐오감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끈적 끈적 찐득찐득 분비불 제거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코딱지 만한 크기까지 귓 속에 숨어 눈에 잘 보이지 않는 분비물. 귀 주변에 가루를 남겨
혐오감
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황인종에게는 주로 고체 형태로 나타나지만 백인과 흑인에게서는 대부분 끈적끈적한 액체 형태로 발견된다.눈곱나 어떡해~! 작지만 눈에 확 띄는 분비물. 눈의 안쪽 끝부분에서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없다. 그러나 사람들은 아름다운 색채와 화려한 몸짓의 나비와 독가루를 뿌릴 것 같이
혐오감
을 주는 나방이라는 편견으로 굳이 나누려 한다.분류학적으로 나비는 호랑나비상과나 팔랑나비상과에 속하는 종류이고 나머지 모두가 나방이다. 종류나 수로 보더라도 나방이 나비의 15배 이상이나 된다. ... ...
Part 2. 죽음의 안식처, 무덤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라가 아닌, 죽은 지 며칠 된 시신을 보는 듯 했다. 하지만 상태가 너무 깨끗해서 오히려
혐오감
이 밀려왔다. 인간의 신체를 보고 있다는 ‘자각’이 강하게 느껴지자 나도 모르게 한 손으로 입을 틀어막았다.중국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시에 있는 후난성 박물관의 최대 자랑거리인 마왕퇴 ... ...
가축 안 키우고도 고기 먹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고기 대신 곤충을 이용한 음식을 퍼뜨리기 위해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사람들의
혐오감
이다. 그래서 그대로 요리하기보다는 단백질을 뽑아 가공식품으로 만드는 방법을 택할 가능성이 크다. 지금은 징그럽다고 질색할지 모르지만 앞으로는 곤충에서 뽑은 단백질로 만든 소시지나 햄을 먹게 ... ...
인기 폭발 꼽등이가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0호
생활하다 죽는데, 빛을 좋아해서 사람이 생활하는 장소 근처에 모여 살다가 죽기 때문에
혐오감
상승! 불쾌 해충도 알고 보면 쓸모 있다!오해가 풀린 김에 저와 제 친구들이 얼마나 소중한 곤충인지 좀 더 설명해 드리죠. 저 그리마나 꼽등이는 죽은 곤충들을 먹어치우는 청소부 역할을 해요. 만약 ... ...
침팬지도 죽음을 애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난 뒤에도 한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보인다”며 “다른 침팬지들도 어린 침팬지의 시체에
혐오감
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앤더슨 박사는 “침팬지가 이런 행동을 하는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죽음을 깊게 인식하는 것만은 분명하다”며 “자신을 인식하는 자의식과도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일본에서는 초밥 재료로만 쓸 뿐 회나 구이로 요리하는 일이 거의 없다. 특히 구이에는
혐오감
을 나타내기까지 하는데, 이와 관련된 이야기 한 토막을 소개한다.“어느 명문가의 처녀가 우연히 한 총각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아이를 갖게 됐다. 그런데 이 처녀에게는 이미 부모가 정해 놓은 약혼자가 ... ...
X선 영상에 예술 담는 의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X선 영상의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고 이를 예술로 발전시키기로 했다. 뼈의 모습이 주는
혐오감
을 줄이기 위해 X선 사진에 살갗을 덧입혀 생명력을 불어넣었고, 나뭇잎, 꽃, 과일의 내부 구조를 찍어 자연의 감춰진 아름다움을 드러냈다.“의사에게 뛰어난 의술만큼 중요한 것이 따뜻한 감성입니다. ... ...
영화보며 눈물 흘리게 하는 거울뉴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원초적인 생물학적 의도일 때 강하게 활성화된다”고 덧붙였다.여자가 눈물이 많은 이유
혐오감
이나 간지러움 같은 원초적인 감정이나 감각을 느끼는 데도 거울뉴런이 관여한다. 오지탐험에 나선 연기자가 엄지손가락만한 징그러운 벌레를 먹어야하는 상황을 TV에서 보기만 해도 역겨움에 몸서리를 ... ...
괴물 해부하는 3개의 시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모습 때문에
혐오감
을 준다. ‘괴물’이 파충류를 연상시키는 것은 인간의 공포와
혐오감
을 자극하는 데 알맞기 때문이다.한편 영화 속 괴물은 당시 사회의 분위기를 대변하기도 한다. 냉전 시대인 1950~1960년대에는 세계가 핵무기의 공포에 떨고 있었다. 그래서 핵실험이나 방사선의 영향을 받아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