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항아리"(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앙리 푸앵카레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왔는지 따져야 할 경우가 얼마나 많겠습니까? 항아리 2개 중에서 꺼낸 공 1개도 어느 항아리에서 나왔는지 밝히기 쉽지 않다. 그런데 어떻게 수많은 글자 중 몇 글자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범인이라고 확신할 수 있는가? 파리 경찰이 이 편지를 읽고 실수를 인정하길 바란다. ●박기자의 한마디189 ... ...
- [가상 인터뷰] 파리지옥 손, 섬세한 게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여러 종류가 있어. 달콤한 향기로 곤충을 유인한 뒤 끈끈한 액체로 사로잡거나 미끄러운 항아리에 가두는 식충식물이 있는가 하면, 진공청소기처럼 주머니 속으로 곤충을 빨아들이는 식충식물도 있어. 벌레 잡는 법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해 줘.파리지옥 덫 속에는 세 개의 감각모가 있어. 감각모는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외할머니가 있는 납골당은 그냥 납골당이었다. 탄탄한 전면 유리 장식장 안에 납골 항아리가 하나 있고, 할머니 사진과 외할머니가 생전 늘 쥐고 기도하시던 반질반질한 십자가가 하나. 진짜, 납골당에 와서 이런 불경한 생각을 하면 외할머니가 내 입에 넣어 주시려던 약과로 맞을 것 같았는데, 두 ... ...
- [여섯 번째 대멸종] 한 종이 사라지면 생태계가 와르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계산하는 컴퓨터 모델에 적용했어요. 그 결과, 이 지역 양서류가 항아리곰팡이균에 감염돼 75%가 사라졌고, 이를 주 먹이로 삼던 열대 뱀의 종 수도 30종에서 21종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어요. 종 다양성뿐 아니라 개체 수도 줄었어요. 현장 조사를 하면 5회 이상 나타나던 뱀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개발했다. 자격루는 기존 물시계와 종, 북, 징을 치는 시보 장치로 이뤄졌다. 원통 항아리에 물이 채워지면서 잣대가 떠오르면 시보 장치와 연결된 선반에 작은 구슬이 떨어져 큰 구슬을 건드린다. 큰 구슬이 떨어지면서 지렛대를 건드리면 인형이 종과 북, 징을 치는 방식이다. 15세기 조선에서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아껴야 산다! '칭찬 저금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영국 사람들은 남는 동전을 붉은색 진흙 항아리에다 보관했다고 전해져요. 사람들은 항아리의 재료인 붉은 진흙을 ‘피그(pygg)’라 불렀는데, 돼지를 뜻하는 영어 단어인 ‘피그(pig)’와 발음이 비슷하죠? 그 때문인지 18세기가 되자 정말로 돼지 모양 저금통이 팔리기 시작했죠. 저금통이 꼭 돼지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바닥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물을 일정하게 흘려보내 시간을 재는 물시계를 발명했어요. 항아리 속 물의 높이로 시간을 알아냈답니다. 기계식 시계는 13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어요. 톱니바퀴와 수직막대, 수평막대 등으로 구성됐지요. 수직막대가 회전하면 맞물린 톱니바퀴가 함께 회전하면서 ... ...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바나나맛 우유를 떠올릴 때 연상되는 대표적인 이미지다. 빙그레에 따르면 장독대와 달항아리 모양을 통해 한국적 정서를 표현하려고 했다고. 또 바나나의 노란색을 최대한 살리기 위해서 반투명으로 제작했다. 마실 때 용기가 약간 기울더라도 내용물이 흐르지 않게 입구 부분에 턱을 만드는 등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감지하라! 132년 무렵, 중국 후한 시대 세계 최초의 지진계 ‘지동의’가 만들어졌어요. 항아리 모양으로 생긴 지동의의 위쪽엔 구슬을 물고 있는 용 8마리가 있는데, 지진이 나서 땅이 흔들리면 용이 물고 있던 구슬이 아래쪽에 있는 두꺼비의 입속으로 떨어져요. 사람들은 이를 보고 땅이 흔들린 걸 ... ...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존재였답니다.그런데 이름과 전혀 다른 동물 모양의 장식품도 있었어요. 분명 ‘뱀 모양 항아리’인데, 얼굴엔 오리를 닮은 부리가 있었고 다리도 4개나 있었어요. 그 이유에 대해 질문하자 조유진 선생님은 “아마존 동물의 모습이 우리가 생각하는 동물의 모습과 조금 다르다”며, “이 때문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