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착
쥐기
잡기
쥠
해독
번역
판독
d라이브러리
"
파악
"(으)로 총 3,460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슬기로운 탄소 배출 생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6호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야 해요. 온실가스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어디서 발생하는지
파악
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1998년 세계자원연구소는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을 성격과 범위에 따라 세 유형으로 분류했어요. 이 분류법은 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리하고, 목표를 세워 배출량을 줄이는 데 ... ...
[숫자로 보는 뉴스] 스트~라이크! 야구장에 로봇 심판이?!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6호
ABS는 타자의 키에 따라 달라지는 스트라이크 존의 높이를 계산하고 공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
하지요. KBO는 “ABS를 활용하면 더욱 공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요”라고 밝혔어요. 한 단계 더~! 로봇 심판을 도입하면서 스트라이크 존의 높이와 너비 기준이 새로 정해졌어요. 높이는 ... ...
[만화뉴스] 마스크가 감정변화를 알아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세기, 높낮이 등을 감지해요.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사용자의 감정 변화를
파악
하죠. 마스크와 얼굴 사이에 발생한 마찰력이 마스크의 에너지로 활용돼 외부에서 전원을 따로 공급할 필요도 없습니다. 연구팀은 “감정을 기반으로 음악이나 영상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마스크로 ... ...
[메타버스 여행법] 대결에서 승리하라! 격투 게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넣은 팀이 승리합니다. 팀원들과 호흡이 굉장히 중요하다 보니 팀원들의 움직임을 잘
파악
하고 패스를 주고받는 것이 중요해요. 규칙이 어렵지 않고, 축구 경기장을 현실처럼 잘 재현했기 때문에 축구에 관심이 있다면 꼭 를 해 보세요! 이번 화에서는 와 ...
[Level Up!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에게 눈이 있다면? 컴퓨터 비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Vision)이라고 해요. 컴퓨터 비전은 이미지를 통해 물체의 특징이나 모양을 신속하게
파악
한 뒤 우리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율주행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보행자 등을 빠르게 구분하는 것도 컴퓨터 비전 기술이에요. 최근 몇 년간 컴퓨터 비전 기술은 우리 눈만큼 정교하고 빠르게 인식할 ... ...
[포토뉴스] 수염고래가 물속에서 소리내는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수염고래 세 마리의 후두를 절제해 컴퓨터 단층촬영(CT)으로 후두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
했다. 그런 다음 절제한 후두를 공기가 드나들 수 있는 인공 폐 시스템과 연결해 후두에 공기를 흘려보내며 호흡 상황을 재현했다. 어떤 부위가 진동하며 소리를 만드는지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연구팀은 ... ...
[가상 인터뷰] 새끼에게 젖 먹이는 양서류 발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직전 고음을 더 많이 내는 경향을 관찰했죠. 이전에는 방어 행동이나 땅을 팔 때 방향을
파악
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줄 알았대요. 그런데 소리를 내는 게 피부를 비비는 것과 함께 밥을 먹고 싶다는 신호였다는 걸 알아냈어요. 연구팀은 저희의 이런 행동들이 처음 발견된 만큼 아직 밝혀야 할 게 ... ...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자동차 배기구, 공장 굴뚝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해 이동한다. 입자들의 이동 경로를
파악
하기 위해서는 점성이 있는 액체와 기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써야 한다. 이 방정식은 프랑스 물리학자 클로드 루이 나비에와 영국의 수학자 조지 스토크스가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시뮬레이션했다. 분석 결과, 음향 신호를 통해 단층 구조 안에서 일어나는 힘의 변화를
파악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음향 신호를 활용하면 지진 발생을 몇 시간 혹은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미국 브라운대학교 지구환경 및 행성과학과 연구팀은 산사태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기능도 유용했습니다. 카메라로 식단을 촬영하면 인공지능(AI)이 먹은 음식을 자동으로
파악
해, 해당 음식의 열량과 당 함유율을 기록해줬습니다. 이런 기능 덕에 하루에 섭취한 총 열량을 보며 체중 감량에도 더욱 신경 쓸 수 있었죠. 또 식사 후엔 단 10분이라도 걷는 습관이 생겼습니다. 혈당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