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투스"(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만화가와 곤충학자 사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자문을 지속해서 받는 등 손이 굉장히 많이 간 작업이었다. 2019년 고비랍토르 미누투스(Gobiraptor minutus)라는 신종 공룡 복원도를 그렸을 때도 화석으로 보존되지 않은 부분을 그리는 데 난관에 봉착했다. 기존 연구에 오늘날 실존하는 생물과 비교한 결과를 더해 어느 정도의 상상력을 넣어 그릴 ...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대부분 오르도비스기부터 여러 형태로 분화됐다”며, “그런데 판타스피스 아우리투스는 캄브리아기부터 삼엽충이 다양한 모습으로 번성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답니다. 기생동물의 조상도 캄브리아기에 탄생했어요. 6월 2일에는 중국 남부 윈난성에서 고생대에 살던 기생동물 화석 ... ...
- [과학뉴스] 세계 최강 물곰, 자외선도 견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산디프 에스와라파 박사팀은 자외선에 노출돼도 끄떡없는 ‘파라마크로비오투스 뱅갈루루’ 물곰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이 물곰에게 자외선을 쏘자, 물곰은 파랗게 빛났어요. 이 파란 형광 색소를 제거한 뱅갈루루 물곰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죽었지요. 파란빛 형광 색소가 물곰의 ... ...
- [과학뉴스] 사막에서 새로운 갑각류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남부에 있는 작은 호수에서 발견했지요. 연구 결과, 이 생물은 민물 갑각류인 팔로크립투스(Phallocryptus)속에 속하는 신종이었어요. 연구진은 이 갑각류가 호수에 물이 없을 땐 마른 침전물 속에서 몇십 년간 살 수 있으며, 우기에 호수에 물이 차면 부화하는 방식으로 사막 환경에 적응했다고 ...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0.05~0.31%다. 공작새의 깃털과 비슷한 무늬를 가져 공작 거미라는 별칭으로 불리는 마라투스 카리에(Maratus karrie) 수컷은 같은 빛에서 반사율이 약 0.35%다. 두 동물 모두 들어오는 빛의 99% 이상을 흡수하는 ‘빛의 감옥’ 역할을 한다. 그런데 여기에 도전장을 내민 동물이 있다. 바로 나비다. 미국 ... ...
- [과학뉴스] 진주에서 발견된 완벽한 형태의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 발자국!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 ‘사우로이데스(도마뱀)’,‘이노바투스(혁신)’를 합쳐 ‘네오사우로이데스 이노바투스(Neosauroides innovatus)’라고 이름 붙였답니다.이 중생대 백악기 도마뱀은 2017년 경상남도 남해에서 발견된 ‘네오사우로이데스 코리아엔시스’와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발견된 ‘사우리페스 하동엔시스’에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가"찜"했다? 개구리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역시 줄기처럼 매끄럽고 반질반질해서 빛이 난답니다.개구리자리의 종소명인 ‘스켈레라투스’는 ‘독성이 크지는 않지만 약간 자극적이어서 사람에게 해롭다’는 뜻의 라틴어예요. 실제로 개구리자리는 기름 형태의 ‘프로토아네모닌’이라는 성분이 있어 피부에 문지르면 염증이 생길 수 ... ...
- 원시 고래는 네 발로 헤엄쳤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벨기에왕립자연사박물관의 척추 고생물학자인 올리비에 램버트 박사는 “페레고세투스 파시피쿠스와 현생 고래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원시 고래 화석들을 찾아 분석하면 고래가 전 세계 바다로 퍼질 수 있었던 경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16/j.cub.2019.02.05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어려운 것”이라며 “이를 첨단 기술로 해결하고 싶었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케인투스의 시스템은 1000마리 이상의 젖소를 대량으로 사육하는 농장에 사용됩니다. 약 20대의 카메라가 수 초 내에 개별 젖소를 인식할 수 있습니다. 헌트 CEO는 “사람처럼 젖소도 얼룩, 점, 털 색깔 등이 서로 다른 ... ...
- 매번 다른 수학자와 밥 먹기, 오베르볼파흐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스테판 글록 박사, 펠릭스 요오스 박사, 김재훈 박사, 다니엘라 퀸 교수, 데뤼크 오스투스 교수는 참석자가 충분히 많기만 하면 항상 답이 있다는 걸 증명해 인터넷에 올렸습니다. 앞으로 검증을 기다려야 하겠지만 만약 증명이 옳다면 오베르볼파흐 문제는 이제 유한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