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면"(으)로 총 1,77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흘러가는 동안 여러 갈래(지류)로 나뉘어요. 중앙에 있는 크고 넓은 지류를 따를지, 측면의 작고 좁은 지류를 따를지, 일 년 내내 물이 흐르는 지류만 인정할지, 건기에 물이 마르는 지류도 포함할지에 대해 과학자마다 견해가 다르지요. 어떤 수원에서부터 어떤 지류를 따라 하구까지의 거리를 ... ...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누가누가 더 길게 자라나 경쟁하는 털 선수들. 피부의 점에 묻힌 털이 무섭게 자라는데? 나, 과학마녀 일리가 점에 숨겨진 비밀을 알아내고 올게! ...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해. 마크심 플리커스 교수는 “노화 세포가 털을 재생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걸 보여주는 연구”라고 말했어 ... ...
- [최신 이슈] 그 털이 곱슬거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인간의 음모와 비슷하다. 그런가 하면 침팬지의 털은 인간의 머리털과 유사하다. 즉 털의 측면에서 보면 고릴라에서 더 진화한 것이 침팬지, 침팬지에서 털이 사라지는 쪽으로 진화한 것이 인간이라는 설명이다. 실제로 인간의 음모와 머리카락에 사는 해충들 중 음모에서 기생하는 기생충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교사의 90% 이상이 박사후연구원까지 경험한 전문가인 것도 운영의 자율성을 잘 보여주는 측면입니다. 학생들과 다양한 연구 경험을 공유하고 연구자로서의 진로를 함께 탐색할 선생님들을 모신 것이죠. KAIST와의 긴밀한 관계도 특징입니다. KAIST 교수님들께서 한국과학영재학교에 관심을 갖고 ... ...
- 끈이론 혁명을 주도한 물리학자의 물리학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1995년 위튼 교수는 이 5가지가 서로 다른 이론이 아니라 이론 하나에서 발견되는 5가지 측면임을 보여요. 이때 발견한 것이 ‘M이론’이고, 이로써 끈이론을 하나의 이론으로 통합하지요. 이를 ‘제2차 끈이론 혁명’이라고 합니다. 물리학자들은 M이론을 통해 훨씬 더 복잡한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노벨 과학상 수상자들이 보이는 공통적인 기질을 물었다. “수상자들은 성격적인 측면에서 일반인과 굉장히 다릅니다. 그들은 각자 품고 있는 질문에 수십 년 넘는 세월 동안 아주 강하게 집중해 왔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수상자들은 수십 년간 자신의 질문에 몰두하는 삶을 산다. 그런데 ... ...
- [Reth?nking] 제 10화. 수학적 대상이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수학자 : 그렇다면 수학적 대상은 어떻게 확장됐나요? 인문학자 : 크게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요. 먼저 문명마다 어떤 ‘기본 행위’에 더 집중하는지에 따라 수학이 다양한 모습으로 전개됐어요. 그리스에서는 상대적으로 ‘재는 것’에 집중해서 기하학이 훨씬 더 많이 발전했고, 중국이나 ... ...
- [5년 후, 과학은] 슈퍼커패시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제조의 원천 기술을 확보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탄소 소재에 대한 근본적 이해보다 응용 측면에 치우쳤습니다. 정부나 대기업 차원의 소재 연구에 대한 투자도 크지 않고요.슈퍼커패시터의 핵심인 탄소 소재의 근본적 성질을 이해하고 직접 제조하는 연구는 이 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
- [이달의 책] "지금 바로 직녀성부터 찾아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수 있게 다른 예시를 제시해주는 것은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는 측면이다.챗GPT를 학습에 활용할 때의 유의점이나 좀 더 쉽게 대화하거나 팩트체크를 하는 팁 같은 준비 단계, 챗GPT와 공부 계획을 세우고 학습 주제에 맞는 문제들도 만드는 기초 단계, 국어, 영어, 과학 등 각 과목에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문제인데, 이걸 해결하는 도구 중 하나가 바로 미적분입니다. 예를 들어 경제학적 측면에서는 어떤 한정된 자원 안에서 최대한 많은 이윤을 남기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구하는 의사결정은 최적화를 통해서 이뤄지지요. 이 외에도 여러 가지 관점에서 생각해봤을 때 미적분은 단순히 수학, 물리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