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총안
총끝
d라이브러리
"
총구
"(으)로 총 25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무섭게 판도라가 기계음을 내며 고개를 치켜들었다. 권총처럼 생긴 판도라는 사방으로
총구
(?)를 돌리며 관측을 하기 시작했다.판도라는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자동으로 움직이며 대기 중 물질농도를 측정한다. 기체는 각각의 성분별로 고유진동수를 가지고 있어 특정 파장의 빛만 흡수하는데,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평지인 바닥에서 대략 4m 높이에 있는 두 가지 총안이 있을 경우, 적을 향해 겨누는
총구
의 경사각이 수평방향에 대해 10°와 38°가 되도록 원총안과 근총안에서 각각 총을 쏘면 성벽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병사를 맞출 수 있을까요? [여장★ 성 위에 낮게 쌓은 담을 말하며, ‘여담’이라고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저격수가 될 수 있을까. 하지만 저격수가 되는 길은 아직도 멀고 험하다. 탄환은
총구
를 떠나는 순간부터 공기의 저항과 맞닥뜨려야 한다. 저격수는 공기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푸딩을 뚫고 표적을 명중시켜야만 한다.저항눈에 보이지 않는 푸딩을 뚫어라공기는 고도와 온도에 따라 부드러워지기도 ... ...
기관총 명사수 '막쏘니 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하나에 탄약 한 발씩 맞춰 발사한다. 한 발을 쏘고 나서 다른 탄약 한 개를 올려야 다음
총구
가 제자리에 놓이게 된다. 기관총이 5바퀴를 돌아서 제자리로 돌아오려면 몇 발을 쏘아야 할까? 업새블라가 가지고 있는 탄약띠를 잘 살펴보도록 하자. 기관총 찾으러 가는 길“우헤헤헤, 역시 머리가 좋군. ... ...
엑스파일 나는 믿고 싶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다른 사람의 몸에 붙이는 괴상망측한 이식수술을 하고 있었다. 멀더는 경악해 이들에게
총구
를 겨누지만 그때 누군가에게 뒤통수를 맞아 의식을 잃는다.장기이식은 말 그대로 질병이나 사고로 제 기능이 다한 인체의 장기를 떼어내고 다른 사람의 장기를 떼어내 붙이는 일이다. 장기 기증자가 이미 ... ...
구멍난 위가 알려준 소화 메커니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운반하는 일을 담당하던 18세의 마르탱이라는 직원이 총에 맞았다. 총기 오발사고 당시
총구
는 마르탱으로부터 1m도 떨어져 있지 않았다. 그 결과는 끔찍했다. 왼쪽 옆구리를 뚫고 들어 온 총알은 5, 6번째 갈비뼈와 왼쪽 폐의 아랫부분을 파괴한 다음, 위의 앞쪽에 구멍을 냈다. 근처에 있던 맥키낙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총알이 약실에서
총구
를 떠날 때까지 오른쪽으로 난 6개의 홈을 따라 회전하게 돼있고,
총구
의 저항을 벗어나면 엄청난 회전을 함으로써 목표를 관통한다. 화약의 폭발력에 의한 직선운동을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목표물에 충격력을 늘이는 것이다. 모든 태권도의 동작은 시발점에서의 ... ...
원숭이는 살아남았을까?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이 원숭이는 어떻게 됐을까.답부터 말하면 이 원숭이는 총알에 맞을 운명을 타고났다.
총구
를 떠나 날아가는 총알이나 원숭이는 모두 지구의 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물체의 운동에 작용하는 중력의 정도는 물체의 크기나 질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그래서 돌맹이나 바윗돌을 떨어뜨렸을 때 ... ...
전자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9호
9×${10}^{-31}$kg으로 양성자 질량의 2천분의 1이다 (또는 먼지 질량의 1조분의 1). 전자총의
총구
에서 빠져나온 전자는 특정한 속도로 탄도를 그리며 움직인다. 전자는 정확히 1.6×${10}^{-19}$쿨롬의 전하량을 가지고 있다. 총신의 강선이 총알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듯이, 전자총도 잘하면 전자가 ... ...
최무선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나무를 끼우는 모병부로 구성되어 있다. 스웨덴의 로슐트 소총통과 같이 부리부는
총구
에서 약통 쪽으로 들어가면서 점차로 좁아지다가 약통 부분에서 넓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겉 모양은 부리부의 입구에 마디가 하나 있고 중간에 두개가 있으며, 약통의 앞 뒤에 각각 한개씩 있다.총통에 음각된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