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4컷만화] 작아지는 달, 땅이 흔들린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컴퓨터 시뮬레이션에 드 제를라슈 단층의 정보를 입력한 뒤, 단층 주변의 판을 300
초
동안 움직였어요. 그러자 주변 건물을 파괴할 만큼 강력한 월진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1973년에 발생한 월진과 같은 진도였죠. 지구의 지진은 몇 분 이내로 끝나는 반면, 월진은 반나절 동안 지속되었습니다 ... ...
[기자의 체험] 색다른 체험부터 똑똑한 강연까지! 기자의 체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크기가 작아져서 생물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는 ‘생찌 로봇’을, 김태연 어린이 기자는 1
초
만에 요리를 만들어 내는 ‘요리사 로봇’을 주제로 기사를 작성했지요. 기사를 쓴 어린이 기자들은 김정 전 편집장의 첨삭을 받을 수 있었답니다. 이어서 김정 전 편집장이 2부 강연을 맡은 이다솔 ... ...
가장 빠른 자동차가 될래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퍼 아워(km/h) 등이 있어요. 10m/s는 1
초
(s) 동안 10미터(m)를 이동한다는 뜻으로, ‘
초
속 10미터’ 또는 ‘10미터 퍼 세컨드’라고 읽어요. 10km/h는 1시간(h) 동안 10킬로미터(km)를 이동한다는 뜻으로, ‘시속 10킬로미터’나 ‘10킬로미터 퍼 아워’라고 읽지요. 누가 누가 더 빠를까? 빠르기로 소문 ...
[4컷 만화] 바다의 짠물이 만들어진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연구팀은 남극저층수가 1
초
에 40만 m3의 속도로 이동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는 아마존강이 1
초
에 흐르는 양의 2배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양이지요. 이원상 책임연구원은 “남극저층수는 지구의 탄소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며 “이번 연구는 해류 순환은 물론 해수면 상승 연구에도 도움이 될 수 ... ...
[에디터 노트] 특이점과 빅뱅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독자들이 특이점을 이해하고 변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그 역할을 해 나가겠습니다. 올해
초
부터 연재 중인 ‘과학을 돕는 과학, 과학정책’ 칼럼이 그 첫걸음입니다. 2023년 하반기 R&D 예산 삭감 이슈로 과학기술계가 큰 충격을 받았을 때 과학동아는 무슨 이야기를 해야할지 고민이 많았습니다. ... ...
[숫자로 보는 뉴스] 1
초
에 몸길이 100배 간다! 물맴이의 수영 비결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배가 앞으로 가도록 회전하는 기계예요. 주로 2개 이상의 날개가 돌아가며 작동하지요.★
초
고속 카메라: 아주 빨리 지나가는 순간적인 모습을 찍는 카메라예요.★수직: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의 한 면과 맞닿아서 직각을 만드는 상태예요 ... ...
수학으로 엿보는 미래 사회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지나자 셀던의 예언대로 쇠퇴와 멸망을 길을 걷는다. 아시모프는 기원전 27년부터 15세기
초
까지 흥망성쇠를 반복했던 로마 제국에서 영감을 받아 을 집필했다. 그는 균형 잡힌 정치 시스템과 유연한 외교 등으로 막강한 국력을 자랑했던 로마 제국이 몰락과 재건을 반복하는 모습을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가장 빠르고 똑똑한 로봇 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구독자 : 16.4만 명)복잡한 미로 속에서 쥐가 단번에 목적지를 찾아냅니다. 불과 10
초
도 걸리지 않고 말이죠. 이 쥐의 정체는 바로 로봇 쥐예요. 로봇 쥐는 첫 번째 주행을 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목적지까지 가는 최단 경로를 학습합니다. 두 번째 주행부터는 막힘없이 목적지까지 얼마나 빠르게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유럽과 아프리카 대륙까지 붙어버린
초
대륙이 생길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팀은 이
초
대륙을 아메리카와 아시아를 합쳐 ‘아마시아’라고 이름 지었다 ... ...
소리로 식별하는 지진 전조 현상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횟수에 따라 저주파와 고주파로 나뉜다. 기존 수학 모형은 주로 저주파의 움직임에
초
점을 맞췄다. 고주파는 단층이 파열되면서 갑자기 나타나는데, 이런 단층의 움직임을 수식으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단층이 갑자기 움직일 때 돌이 단층면에 진동하듯 부딪히며 움직여 고주파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