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문"(으)로 총 3,13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뭘까. 물질을 쪼개고 쪼개서 얻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알갱이는 뭘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풀며 우주에 대한 인류의 이해가 깊어졌다. 지금 우리는 사과가 땅에 떨어지는 이유가 중력에 있다는 것을 안다. 물질을 쪼개고 쪼개다 보면 원자란 작은 입자에 다다른다는 사실도 안다. 중력에 대한 ...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수학동아 l2024년 04호
- 그리고 첫 번째 실험에서와 마찬가지로 ‘지금 얼마나 행복감을 느끼는지’에 대해 질문하고 예측값과 비교했다. 그 결과 연구팀의 예측값과 사람들이 느끼는 실제 행복감의 크기는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행복 방정식의 정확성이 증명된 셈이다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이어지면 1이 될까요? 아니면 1보다는 작고 0.99999…보다는 큰 수가 따로 있을까요? 이 질문의 답을 찾기 위해 등비수열과 그 합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게요. 이와 같이 수열의 항이 1/10배씩 줄어들면, 초항이 0.9고 등비가 1/10인 등비수열이 돼요. 0.99999…는 이 등비수열의 합과 같지요. 일반적으로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걸 알고는 있었지만, 그 말이 새삼 참 인상적이더라고요. 강연 때 잠 깨라고 종종 이 질문을 던져요.” 그제야 함께 웃으며 조만간 화학물질이 아닌 것을 찾아 연락드리겠다고 답했다. 여 교수는 독자들과 머리를 맞대도 좋다고 자신있어 했다. 그러니 여러분도 ‘여인형의 화학 공부’를 읽으며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대부분의 상어는 소모된 이빨이 교체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누군가는 질문할 수 있겠죠. 아무리 상어의 입이 커다랗다고 해도 3만 개의 이빨이 있을 자리가 있을까? 정답부터 얘기하면 없습니다. 상어의 이빨은 7~8줄로 이뤄져 있는데, 앞줄의 이빨이 빠지면 그 뒤에 있는 이빨이 2~3일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삭제했다고 하자. 그럼 비로소 비밀리에 라면을 사 오는 미션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이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할 수 있는 이를 만나러 3월 4일 오후, 대검찰청 과학수사부의 멀티미디어 복원실을 찾았다. 소병민 대검찰청 과학수사부 멀티미디어 복원실 분석관은 멀티미디어 복원실의 업무를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실험 결과를 설명하는 이론이 정립되면, 물질의 기원과 우주의 진화 과정에 대한 오랜 질문을 해결할 단서가 될 것입니다.*필자소개서진주. 인하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앨리스 실험에서 ...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설명했다. 한편 조서연 독자(경기 태전중 2)는 “예미랩의 앞으로의 목표가 무엇이냐”고 질문했다. 소 책임기술원은 미소를 띠며 “예미랩에 지금보다 더 많은 연구단체가 들어와, 예미랩이 연구 도중 티타임도 가지고 의견도 나눌 수 있는 과학자들을 위한 놀이터가 되는 것”이라고 답했다 ... ...
- 식품 속 발암물질 제대로 알기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유일 겁니다. 막을 수 없으니 최대한 줄이는 것만이 최선인 셈이죠. 좀 더 근본적인 질문을 해보죠. 뉴스와 인터넷에 언급되는 발암물질이 정말 암을 유발할까요? 답은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입니다. 식품 속 발암물질은 세계보건기구(WHO) 소속 국제암연구소(IARC)가 정한 기준에 ... ...
- [과동키즈] “이제는 직업을 만드는 시대라고 생각해요”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공부합니다. 복수 전공도 힘든데 어떻게 3개 전공을 할 생각을 했을까요. 기자의 질문에 “처음부터 그럴 생각은 아니었다”고 그는 웃으며 답했습니다. 박 연구 수석은 여느 이공계 대학생처럼 박사학위를 받고 교수가 되는 길을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군복무 시절 빠르게 변하는 세상 속에서 특정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