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리"(으)로 총 7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은? 아마존강 vs 나일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크앙! 나는 세계에서 가장 긴 아마존강에 사는 악어야. 그런데 최근 불편한 소문이 들려오더라고?아니, 옆 대륙 아프리카에 사는 악어 친구가 나일강이 세계에서 제일 길다며 으스대지 뭐야.알아보니, 과학자들이 세계에서 제일 긴 강을 찾기 위해 직접 카약을 타고 강의 길이를 잰다더라고!과연, ... ...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거미줄처럼 얽힌 채 열대우림을 거쳐 대서양으로 흐르는 것을 볼 수 있지요.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성영배 교수는 “아마존강은 나일강보다 지류가 훨씬 많고, 나무가 적은 지역을 흐르는 나일강과 달리 열대우림 속을 흐르고 있어 수원을 찾기 까다롭다”고 말했습니다. 오랫동안 아마존강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내비게이션, GPS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주유소는 어디에 있는지 모두 전자 지도에 나타나 있어요. 단, 새로운 도로가 생기면 지리 정보 시스템도 바뀌기 때문에 내비게이션은 꼭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를 해줘야 해요. 전자 지도를 통해 길을 알 수 있다면, 지금 내가 어디 있는지 알 수 있게 하는 건 GPS입니다. GPS는 인공위성을 통해 나의 ... ...
- IMO 2023 그 뒷 이야기 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예일대학교 박사과정생, 코디네이터 10명이 참가했는데요. IMO 주최 측에서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일본에서 대회가 열리자 수학 실력이 뛰어나면서 영어를 잘하는 우리나라 학생을 많이 섭외했어요. 김동률 위원은 ‘경시대회의 신’이라 불릴 정도로 과거 IMO와 대학수학경시대회에서 ... ...
- [과학사 극장] 다윈은 용물용설을 부정하지 않았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년에 출판된 자서전에서였다. 여기서 다윈은 거대한 화석 동물들과 남아메리카 동물들의 지리적 분포, 그리고 갈라파고스 군도의 섬마다 조금씩 다른 동물 종들을 언급하며 이들이 종의 변형에 관한 그의 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고 밝혔다. 그가 동료 학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도 이런 ... ...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직경이 7촌(약 14cm), 길이가 1.5척(약 31.1cm)인 그릇을 쇠로 제작했다. 측우기는 당시 천문지리술수를 담당하는 관청인 서운관 앞마당에 설치됐다. 서운관 관원이 자로 빗물의 양을 측정해 날짜와 날씨를 함께 기록해 보고하도록 했다. 각 고을에서도 서울에서 주조한 측우기를 본따 만든 빗물 그릇을 ... ...
- [숫자뉴스] 드디어 찾았다? 피라미드 건축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연구 결과가 발표됐어요. 프랑스 ‘유럽 환경지구과학 연구교육센터(CEREGE)’의 환경지리학자 하데르 세이샤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이집트의 기자 피라미드 주변에서 나일강의 물줄기가 흐른 자국을 발견했어요. 땅속 깊은 곳에서 꽃가루 알갱이 화석*을 발견해 분석했더니, 물가에서만 사는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수많은 학자가 알렉산드리아 대도서관에서 의학, 지리학, 문학 등 각 분야의 지식을 수집해서 목록화하는 작업을 했지요. 에우클레이데스가 을 쓴 의도가 담긴 서문은 남아있진 않지만, 기하학도 당시 지식의 체계화 작업의 일환으로 볼 수 있어요. 수학자 : ...
- [이달의 책] 45억 년 지구가 보여주는 가장 놀라운 지형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단면은 다른 곳에서는 좀처럼 볼 수 없는, 지구라는 거목의 나이테인 셈이다. 막연했던 지리와 지구과학 개념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 아름다운 사진, 지형 형성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3D 지형도와 지층 단면도 등의 시각 자료와 결합해서 세계 여행의 생생한 경험으로 바뀐다.오스트레일리아 ... ...
- [기획] UFO? 아닙니다. 과학 임무 중인 풍선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하중을 감당할 수 있었다. 이후 풍선으로 할 수 있는 과학 임무가 천체 물리, 태양 물리, 지리 정보 등 훨씬 다양해졌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초고압력기구는 기체를 넣는 ‘풍선’ 부분인 기낭을 완전히 밀폐한다. 풍선이 터지거나 내부 기체가 빠지는 일이 없기에 일정 고도 범위에서 오랫동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