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도"(으)로 총 3,0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은 명탐정!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만들어 놓았다. 그 사실을 확인한 몰러는 같은 공식을 후속 범죄 예측에도 활용했다. 즉 지도상의 각 지점의 범죄 발생률이 주변 지역에서 일어난 범죄의 양과 최초 사건에 뒤따르는 범죄의 분포를 추가한 값과 같다는 것이다. 두 학자는 이 수식과 로스앤젤레스 지역에서 80년간 일어난 약 1,300만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서울대 재료공학부 학위 과정은 어떤 시간이었나한국에 오고 얼마 지나지 않아 대학원 지도교수님이셨던 강신후 전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님의 배려로 연구실 인턴을 경험하고 대학원 입학까지 할 수 있었습니다. 대학원에 처음 갔을 땐 완전히 부서지는 느낌이었어요. 북한에서 손꼽히는 대학을 ...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옆에서 조용히 서 있던 남자가 모습을 드러냈어요.매력적인 콧수염을 어루만진 그는 지도를 펼치며 제우스에게 말했어요.“몇 가지 시설이 더 필요합니다. 제가 설명해 드리지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전기가 집까지 오려면?발전소에서는 화석연료, 햇빛, 바람, 물, 원자력 등 다 양한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참과 거짓의 과학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진술만으로 사건을 재구성할 수 있었고, 논리성이나 일관성 부분에서 특이점을 발견하지도 못했죠. 피해자가 손짓발짓을 이용해 포기하지 않고 자기 경험을 전하려고 했던 모습이 기억에 남습니다.”진술 전 과정은 면담실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로 녹화된다. 피해자가 언어 말고도 행동 등 다양한 ... ...
- [지사탐 인터뷰] 다함께 기록하자! 우리동네 제비꽃 '문현지'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도봉산을 오르죠. 매일 산을 오르면, 어떤 제비꽃이 어느 등산로 주변에 있는지 머릿속에 지도가 그려져요. 겨울이 되면 연구실에서 한 해 동안 채집했던 식물의 표본을 정리합니다. 지금도 정리할 표본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어요. Q 산을 오르며 제비꽃의 어떤 점을 관찰하나요?제비꽃은 봄엔 ... ...
- [미술*과학] 예술이 인간을 인간이 우주를 그리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 당시 최신 기술을 총동원해 그린 이 흑점 시뮬레이션은 아직까지도 태양 흑점을 구현한 가장 방대한 3차원 모델로 꼽힌다. 위 이미지는 국립대기연구소의 흑점 시뮬레이션이 공개되기 약 130여 년 전인 1881년 프랑스의 천문학자 에티엔 트루블로가 그린 태양 흑점이다. 쌍을 ... ...
- [넥스트 AI] AI 애널리스트의 입사 조건은?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전문가들이 전망한, AI의 다음 단계를 상반기 동안 연재합니다.)챗GPT가 일상에 파고든 지도 14개월째다. 챗GPT가 등장하기 전에 ‘인공지능(AI)’은 IT 전문가들만 몰두한 ‘그들만의 세상’이었다. 챗GPT가 나오면서 비로소 생성 AI는 누구나 매일 습관적으로 만지는 IT플랫폼으로 나아가고 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지구의 모든 땅은 하나였다?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우주는 감히 우리가 넘볼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해졌습니다. 아직까지 우리가 가지도, 보지도 못한 그 미지의 세계에는 도대체 무엇이 있는지, 우주의 시작부터 현재까지 파헤쳐 봅니다. ● 배달로봇 ‘길막’했을 때 반응 (조회수 3273회)채널명 : 씨즈 (구독자 : 5530 명)지능형로봇법이 개정되며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분별할 수 있는 이미지 정보를 줘요. 이를 통해 로봇은 실시간으로 정보를 학습하며 지도를 완성합니다. 로봇 내부에 설치된 컴퓨터는 사람의 뇌 역할을 해요. 컴퓨터는 앞서 얻은 주변 정보를 이용해 측위, 인지, 제어라는 3단계를 거쳐 경로를 탐색합니다. 측위는 GPS와 카메라 등으로 얻은 정보를 ... ...
- 전술의 신 5. 승리 비결은 선수들의 노력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에서 이런 주장의 역할이 새로운 경기 곡선을 만든다고 주장했다. 그는 개미의 지도력을 설명한 연구를 적용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 2013년 생물학자 매들린 비크만은 실험을 통해 한 집에 있는 개미 수에 따라 얼마나 많은 개미가 먹이를 찾아갔는지 관찰했다. 개미는 먹이를 발견하면 먹이를 가지고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