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대학교"(으)로 총 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종이접기하듯 접었다 펴는 DNA 나노구조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종이접기의 달인 과학마녀 일리는 최근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DNA도 접을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한껏 흥분했어. DNA를 어떻게 접는다는 걸까? 일리가 물어보고 올게! Q. 자기소개 부탁해.A. 안녕. 나는 DNA야. 생명체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이지. DNA는 두 개의 가닥이 이중나선을 이루는 구조로,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포자를 대포알처럼 발사? 공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별처럼 활짝 피는 공버섯 공버섯의 존재를 처음 알게 되었을 땐 흥분이 가라앉질 않았습니다. 세상에 이렇게 신기한 버섯이 있다니! 버섯들이 이렇게 다양하고 신기하게 진화했다는 사실이 그저 놀라울 뿐이었어요. 공버섯에 대해 조금 더 찾아보다가 공버섯이 우리나라에도 있다는 것을 확인 ... ...
- [제로슈거] 많이 먹어도 괜찮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등의 당알콜이 많이 포함된 제품은 과량 섭취 시 설사를 유도할 수 있다”고 답했어요. 중앙대학교광명병원 가정의학과 오윤환 교수는 “당알콜이나 스테비오사이드 등의 감미료는 소장에서 완전히 흡수되지 않고, 대장으로 전달된다”며 “대장에서 장내 세균이 감미료를 발효시키면서 가스와 ... ...
- [특집] 궁금해! 제로슈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http://dl.dongascience.com/magazine/view/C202309N002 콜라, 젤리, 쿠키, 아이스크림단 음식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집니다.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비만이 되거나 건강을 해칠까 봐 걱정되기도 하죠.이런 걱정을 줄여주는 제품이 있는데요. 바로 설탕을 뺀 제로 슈거입니다.최근 음료, 과자, 과일, 심지어는 약까 ... ...
- [숫자뉴스] 사우디아라비아에 황금 정육면체가 생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8호
- 사우디아라비아가 수도*인 리야드에 거대한 정육면체 모양의 건축물 ‘무카브(The Mukaab)’를 2030년까지 짓겠다고 발표했어요. ‘무카브’는 아랍어로 ‘새로운 정육면체’라는 뜻이지요. 정육면체는 6개의 면이 모두 똑같은 정사각형으로 이뤄진 입체도형이에요. 무카브를 짓겠다는 계획을 세운 ... ...
- [특집] 기계적 메타물질로 캡틴의 방패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의 방패는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금속인 비브라늄으로 만들어져, 적의 어떤 공격에 대해서도 운동에너지를 흡수해 충격을 차단해. 이런 무적의 방패를 현실에서도 볼 수 있을까? 과학자들은 강도를 자유로이 조절해주는 메타물질에서 해법을 찾고 있어! 나노 구조를 접 ... ...
- [이그노벨상] 벌에 어느 부위를 쏘이면 가장 아플까?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초등학생 때 교실에 들어온 호박벌을 내쫓으려다 처음으로 벌에 쏘였다. 따끔한 첫 느낌에 이어 얼얼하고 화끈거리는 고통이 찾아왔다. 모기와는 차원이 다른 고통에 친구들 앞에서 엉엉 울었다. 그런데 다양한 곤충에 여러 번 쏘여가며 고통을 측정한 과학자들이 있다. 이 과학의 순교자들은 2015 ... ...
- [특집] 인류의 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현재 지구에 사는 인간은 모두 ‘호모 사피엔스(Homo Sapiens)’ 단 한 종입니다. 하지만 수십만 년 전 유럽에는 네안데르탈인, 러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는 데니소바인이라는 인류가 있었죠. 과거를 다녀온 것도 아닌데 지금은 사라진 인류의 존재를 어떻게 알 수 있었을까요? 스반테 페보 박사는 ... ...
- [기획] 필즈상 수상자도 깜짝 놀랐다! 고3이 정수론 난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수학자도 못 푼 방식으로 카마이클 수에 관한 문제를 증명했어요. 정말 멋진 연구입니다.”- 제임스 메이나드 - 다니엘 라슨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1학년 학생이 고등학교 3학년 때 정수론의 30년 묵은 난제를 푼 사실이 알려져 화제입니다! 2022 필즈상 수상자인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 ... ...
- [특집] 드디어 풀리다! 음의 펠의 방정식의 비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때 58개의 d는 정수해를 가지고, 나머지 42개는 정수해를 가지지 않는다는 거지요. 진석호 중앙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방정식의 해를 구할 수 없을 때 해답의 실마리에 다가가기 위해 빈도를 찾는 문제로 바꿔서 푼다”며, “이렇게 풀면 기존에 알지 못했던 수학적 발견을 할 때도 있다”고 이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