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창"(으)로 총 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함께 HVDC 기술 국산화에 본격적으로 도전한다고 밝혔다. 120년 전, 에디슨이 그토록 주창했던 직류가 이제야 날개를 단 것이다.교류의 재앙 : 전선 하나만 잘못돼도 블랙아웃 일어나전기는 교류와 직류, 2가지가 있다. 현재 우리가 쓰는 전기는 교류다. 직류는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데 비해, ... ...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질량의 근원을 이해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발견했다”다. 이들이 처음 주창한 힉스 메커니즘과 그 부산물인 힉스 입자는 우주에 존재하는 입자 대부분이 어떻게 질량을 갖는지를 설명할 수 있어 우주의 비밀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으로 평가 받아왔다.이번 수상은 지난해 7월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대해서는 치열한 논쟁이 뒤따른다. 이 논쟁의 승자는 보어를 중심으로 한 행렬역학 주창자들이었다. 이들의 해석을 코펜하겐 해석이라 부르는데, 코펜하겐은 바로 보어가 머물면서 양자역학의 탄생을 주도했던 도시다. 보어의 원자모형은 100년을 맞은 지금 이미 수명을 다했지만, 보어는 양자역학의 ...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1호
- 끌어당기고(인력), 밀어내는 힘(척력)을 모두 작용하게 할 수 있다.즉, 베켄스테인 교수가 주창한 TeVeS 이론은 아인슈타인이 생각한 텐서(중력자) 뿐만 아니라, 벡터와 스칼라 입자가 함께 작용해 이 세상 모든 입자들이 중력의 힘을 받게 한다는 이론이다.수정뉴턴역학을 쉽게 이해하기는 어렵겠지만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수 있다”고 주장했다.※ 대표적인 주기적 다중우주인 ‘브레인 충돌 빅뱅 이론’의 주창자 중 한 명인 폴 스타인하르트 미국 프린스턴대 물리학과 교수가 홈페이지에 만들어 둔 동영상을 통해 과정을 좀더 실감나게 볼 수 있다. http://goo.gl/ZvBok 특징 우주를 설명할 새로운 생각물리학자들은 다시 ... ...
- 에디슨의 후예들에게과학동아 l2011년 09호
- 들릴까? 그러나 성공과 실패의 부침을 거쳐 최고의 CEO가 된 스티브 잡스나, 오픈소스를 주창해 리눅스의 새로운 역사를 쓰고 있는 리누스 토발즈, IBM PC에 베이식 언어를 이식하면서 영원한 개발자로서의 자부심을 가졌던 빌 게이츠…. 이들 모두 생은 다양했지만 에디슨의 삶에서 빛났던 낙천성과 ... ...
-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과학동아 l2011년 08호
- 만 년의 폭발(글항아리)’은 특이한 관점의 책이다. 오늘날 진화론은 스티븐 제이굴드가 주창한 대로 일정 기간 진화가 정체된 기간이 있다는 ‘단속평형’이 주류다. 하지만 이 책의 저자들은 인류가 실제로는 조금씩 변화를 겪고 있다는 주장을 과감하게 하고 있다. 특히 문명의 발달이 진화에 큰 ...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1년 06호
- 는 오랫동안 이론으로만 존재했던 것인데…”라며 조심스러운 반응을 보였다.이론의 주창자조차 이처럼 신중했듯이 반물질의 발견은 물리학의 역사상 가장 믿을 수 없는 순간이라고 할 수 있다. 순수하게 수학적 이론으로 예상한 입자가 실제로 존재했기 때문이다.디랙은 1933년 슈뢰딩거와 함께 ...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과학동아 l2011년 03호
- 된다. 즉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사피엔스는 결국 같은 종이 된다.실제로 다지역연계론의 주창자 밀포드 월포프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 교수는 1994년에 호모 에렉투스 종명을 없애자는 논문을 내고 그 이후 논문에서 모든 호모 속의 집단들을 호모 사피엔스로 불렀다. 1999년에는 호모 하빌리스와 ... ...
- 달라붙는 속옷이 몸에 좋은 이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20세기 초였다. 프랑스의 패션 디자이너 폴 푸아레가 1907년 신고전주의 의복스타일을 주창한 뒤 브래지어가 유행하게 됐다. 1960년 라이크라(미국 뒤퐁사에서 개발한 폴리우레탄 섬유)가 등장하면서 속옷은 가볍게 변했고 신축성도 혁신적으로 개선됐다. 급기야 마돈나가 1990년 프랑스 패션 디자이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