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천문학자] 밤하늘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관한 신탁도 적혀 있지요. 이 바빌로니아 별자리가 이후 고대 그리스로 넘어와 조금 바뀌어 오늘날 우리가 쓰는 별자리의 기초가 되었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8개의 별자리는 1922년 로마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정해졌어요. 빈 점선 잇기 놀이판 같은 밤하늘에서 별자리라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5호
- 필요하다”고 말했답니다. # 에필로그 “꿀록 탐정님의 설명을 들으니 불안함이 조금 사라졌어요. 이제 안심하고 잘 수 있겠어요.”오로라 공주가 한결 가벼워진 목소리로 말했어요. “가장 중요한 건, 잠들기 전 스마트폰을 멀리하는 겁니다. 빛에 노출되면 잠드는 데 방해가 되니까요.”꿀록 ... ...
- 지금과 다른 2억 년 뒤 세계지도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방향 같은 정보를 이용해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판이 이동하는 속도는 각각 조금씩 다르다. 태평양 동부 남반구 부분의 해양판인 나스카판은 머리카락이 자라는 속도(1년에 약 160mm씩) 정도로 빠르지만, 대서양 한가운데 위치한 해저 산맥인 대서양 중앙 해령은 손톱이 자라는 속도(1년에 ... ...
- 미리 알고 태풍 피해 막기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큰 이동 경로를 예측한다. 기상청에서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방정식을 조금씩 변화시킨 여러 가지 모형을 한꺼번에 사용하는 ‘앙상블’이라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여러 모형에서 나온 결과를 통계적으로 처리해 태풍에 대해 예보한다. 슈퍼컴퓨터의 예측 결과는 예보관에게 ... ...
- [데이터로 지구 지킨다] 지구도 방학이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이야기지만, 투수로서는 속상한 일일 거예요. 이처럼 기후 위기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조금씩 바꾸고 있답니다. 기후 위기를 몸소 느끼는 동물들 눈덧신토끼는 1년에 두 번 털갈이하는 위장의 달인이에요. 봄부터 가을까진 짙은 갈색의 털을 두르고 있다가 겨울이 되면 눈 색깔과 비슷한 흰 털로 ... ...
-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뛰라고 조언했다. 최대한 멀리 도망치거나 장애물을 최대한 많이 설치해 좀비의 공격을 조금이라도 늦추는 것이 개인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것이다. 울리는 좀비가 언제 들이닥칠지 알아내기 위해 몇 가지를 가정했다. 우선 좀비가 처음 발생한 장소를 시체가 있는 병원이나 무덤이라고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전달받기 위해 ‘N1 임플란트’ 칩을 이용한다. N1 임플란트 칩은 50원짜리 동전보다 조금 큰 원판에 64개의 실이 붙어 있는 형태다. 이 실의 두께는 머리카락의 10분의 1 정도로 아주 얇으며, 실 하나당 뇌파를 읽는 전극이 16개씩 부착돼 있다. N1 임플란트 칩 한 개에 1024개의 전극이 달린 셈이다. 이 ...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특정 값에 한없이 가까워진다는 말이에요. 특정 수열 an의 수렴하는 값이 a라는 것을 조금 더 수학적으로 정의해보면 다음과 같아요. 수학에서 정의를 명확히 하는 까닭은 무엇일까요? 2화에서 언급했지만,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그에 관한 수학 명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명제가 ... ...
- [대검찰청 과학수사노트] 멀티미디어 복원, 0과 1의 암호 속에서 사라진 정보를 찾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기존 데이터가 손실된다. 이때부턴 멀티미디어 데이터 복원의 영역으로 넘어간다. 조금이라도 남은 기존 데이터를 살려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어야 한다. 소 분석관은 이 과정을 “암호를 푸는 과정과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실제로 삭제됐던 CCTV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복원했던 사례를 ... ...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맥주, 제로 소주, 위스키, 와인을 종류별로 마셔봤습니다. 사람에 따라 또 주종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겠지만, 기자의 경우엔 술을 마셨을 때 오히려 혈당이 떨어졌습니다. 이에 대해 김하일 교수는 “술에서 나는 단맛은 대부분 감미료이기 때문에 당이 그리 많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