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도"(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1장. 초정밀 ‘키블 저울’ 찾아 지하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늦었지만 연구 4년 만인 2016년에 키블 저울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현재의 수준으로 정밀도를 끌어올리는데 4년이 더 걸렸지요.덕분에 우리나라 연구팀은 올해 세계 최초로 열린 ‘국제 비교’에 참가할 수 있었답니다. 국제 비교는 정확한 질량 측정을 위해 각 나라의 키블 저울로 측정한 킬로그램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 어렵다. 이들은 지구에서 관측해 궤도를 알아내야 하는데 그 정밀도가 떨어져 1~2일 후의 위치 예측도 수km의 오차가 난다. 저궤도 인공우주물체 1만 4000여 개 중 이런 물체만 1만여 개에 이른다.최 책임연구원은 “이 물체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내는 기술 개발이 선행돼야 할 ... ...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및 낙하점, 발사시간대(소위 말하는 하늘 문이 열리는 시간), 발사체의 성능, 자세제어 정밀도, 중요시스템의 규격 등도 전부 기술해야 했다. 발사 운용에서 가장 중요한 안전성 분석보고서도 필수였다. 발사안전조직, 비행안전계획, 기상에 따른 발사기준 등 발사체 안전 대책을 설명하고, 발사 중 ...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있고 헤드만 이동 하는 방식입니다. 헤드와 베드가 모두 움직이는 카르테시안 방식은 정밀도가 높고, 델타 방식은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원정대는 카르테시안 방식 중 헤드만 XY축 평면 이동을 하는 코어XY 방식을 채택했습니다. 붕어빵 기계에서 반죽과 앙금을 부을 때 수직 이동은 크게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고개를 틀며 위성에 진동이 생긴다. 굉장히 작은 진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한 관측용 위성에서는 큰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최 단장은 “정지궤도위성의 카메라는 각도가 0.1도만 틀어져도 지상 기준으로는 30~70km 옆을 바라보게 된다”며 “그래서 탑재체는 한 번에 ... ...
- 878초냐, 888초냐 중성자 수명 10초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광자의 개수 비는 17%나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자의 수명이 우주의 진화와 정밀도를 계산할 때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주요 변수로 작용하는 셈이다. 중성자가 암흑물질로 붕괴한다면?878초와 888초. 이 양립할 수 없어 보이는 두 실험 결과가 모두 옳은 값일 가능성도 있을까? 물리학자는 이런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발견은 오랜 시간의 관측과 정교한 분석을 수행한 두 과학자의 열정, 그리고 첨단 장비의 정밀도가 합쳐진 쾌거라고 할 수 있다. 두 사람이 외계행성을 처음으로 발견한 이후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지구 바깥 궤도에 쏘아 올리는 등 세계적으로 외계행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됐고, 그 결과 현재까지 40 ... ...
- [언니오빠논문연구소] 연대 측정의 혁명 가속기 질량 분광분석장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장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처음에는 메가전자볼트(MeV)급의 직류 고전압을 만들지 못해 정밀도는 떨어졌습니다. 지금은 효율적인 직류 고전압 발생 장치가 개발돼 수백 킬로전자볼트(keV)로도 충분합니다. 가로, 세로가 각각 5m, 6m로 약 30m2 넓이의 공간만 있으면 고효율의 직류선형가속기 기반 질량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따라 각국의 심해 탐사 경쟁은 시간이 지날수록 치열해졌다. 특히 유인 잠수정은 탐사의 정밀도를 크게 높일 수 있어 각국이 앞다퉈 개발해 왔다. 수심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전 세계 바다의 98%를 탐사할 수 있다. 8월 현재 6000m급 이상 유인 잠수정을 보유한 나라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비해 떨어진다. 유인 잠수정은 사람이 직접 탐사 지역을 보면서 작업하기 때문에 정밀도와 탐사 효율이 비교적 높다. 해미래 개발을 이끌었던 이판묵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케이블로 연결돼 작동하는 해미래는 움직임에 제약이 있다”며 “로봇 기술이 많이 발달했지만 아직은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