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칙"(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킹앤카] QUIZ KING & KAIST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다수결의 원칙에 따라 승자가 정해지는 투표는 꽤 합리적으로 보여요. 하지만 다수결의 원칙이 구성원의 선호를 정확히 반영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문제를 통해 다수결로 정하는 투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프랑스의 수학자인 니콜라 드 콩도르세가 제안한 투표 방법을 ... ...
- 코로나19 백신 부작용, ‘이것’ 고려하지 못했다? 성차의학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이를 확인한다. 과학적인 방법이다. 그런데 의학은 오랫동안 ‘남자의 몸에 적용되는 원칙이라면 여자의 몸에도 적용될 것’이란 전제를 깔고 있었다. 이 전제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연구 규정과 함께 관례화되면서, 여성을 의학 연구에서 지웠다. 1957년, 독일 제약사 그뤼넨탈에서 만든 ... ...
- [SF 소설] 라스트 찬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도착했다. 아이사는 포로용 감옥에 수감돼있었다. 처형일 전에 포로와 접촉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법이었다. 그러나 진은 대위의 지위를 이용해 아이사를 만날 수 있었다.“헤타이트족에게 연락을 넣었어.” 진은 아이사의 손을 잡아끌며 말했다. 그녀는 구속복을 입고 손에는 수갑을 찬 ... ...
- [특집] 죄 없는 죄인을 위한 과학수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무죄로 본다는 ‘무죄 추정의 원칙’은 영국과 미국 법률의 근간이 됐다. 그리고 이 원칙에 따라 법과학은 죄 없는 죄인을 만들지 않기 위해 힘써왔다. 하지만 그 노력이 항상 정답은 아니었다. 모순된 증거, 분석 기술의 한계, 과학수사에 대한 몰이해로 억울하게 감옥에 갇힌 사람들이 있었다. ... ...
- 결백 프로젝트, 과학수사의 모순을 파고들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것이다. 결백 프로젝트 창립자 중 한 명인 뉴펄드는 한 인터뷰에서 “과학과 법은 모순된 원칙과 패러다임을 가진 두 개의 다른 세계에 존재해왔다”며 “이 보고서가 무고한 사람을 해방시키고 생명을 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국판 결백 프로젝트 가능하려면 국내에는 ... ...
- 동물원 허가제, 어려움을 뚫고 나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있을 수도 있습니다.이에 대해 김소리 변호사는 “우리나라 헌법에는 ‘신뢰 보호의 원칙’이라는 게 있다”며 “국민이 어떤 규칙이 앞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믿는다면 국가가 이를 보호해야 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누군가 동물원 허가제 때문에 동물원을 운영 하지 못하게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우주조약 제1조에는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한 외기권은 종류의 차별없이 평등의 원칙에 의하여 국제법에 따라 모든 국가가 자유로이 탐색하고 천체의 모든 영역에 대한 출입을 개방한다’고 써있다. 어렵게 들리지만 요지는 화성에는 땅 주인이 없다는 뜻이다. 당신이 화성의 일정 영토를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과학고와 KAIST를 거치는 동안 주위의 과학자들을 오랫동안 지켜봤다. 그렇게 만난 우리 세대 과학자의 삶은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전자는 주로 하나의 연 ...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사안의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학적 관점의 자기계발 원칙들을 제안할 생각이다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❷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때문이죠. 그렇기에 동물실험을 할 때는 동물의 고통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여기서 ‘고통’은 물리적 자극에 의한 고통만을 이야기하는 게 아닙니다. 2022년 10월 미국 하버드 의대에서 진행한 동물실험이 전세계 과학자들의 공분을 산 일이 있었습니다. 갓 태어난 원숭이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영향을 미칠 겁니다.광음향 영상기술은 생체조직이 만들어낸 소리를 직접 듣기 때문에 원칙적으론 조영제 같은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도 생체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생화학적 조영제와 광음향 영상기술을 사용해 광열 치료(Photothermal therapy)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