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녹는점
융해점
d라이브러리
"
용융점
"(으)로 총 1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귀에 들리지 않는 곳에서 맹활약한다 초음파의 세계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통해 용접 부위에 전달시키면 용접이 가능해진다. 산화막이 자동으로 제거되고 금속의
용융점
(녹는점)이하의 온도에서 용접이 이뤄지는 것이다(그림6).뿐만 아니라 반도체 칩에 도선을 연결할 때도 초음파 용접을 사용한다. 플래스틱 종류도 초음파를 사용하면 용접할 수 있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 ...
검은 돌을 반짝이는 돌로 인조다이아몬드 만들기
과학동아
l
1989년 02호
)에서와 같이 각각 다른 V자영역이 나타난다. 여기에서 V자의 수직선은 그 금속이 녹는
용융점
이 된다. 다이아몬드의 합성은 결국 흑연과 다이아몬드의 용해도 차이에 의한 흑연의 용해 그리고 다이아몬드의 석출반응에 의한 것이다. 그래서 다이아몬드 합성의 촉매금속은 용매금속으로도 ... ...
PARTⅡ 합성섬유 기적의 섬유, 나일론 탄생 50년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선형고분자를 합성하였다. 그러나 얻어진 폴리에스텔의 융점이 너무 낮아 이를 포기하고
용융점
을 올리기 위하여 아미드 결합을 이용한 선형고분자의 합성으로 연구의 방향을 바꾸었다. 그의 이론에 따라 2기능성아민인 헥사메틸렌디아민과 카복실산인 아디핀산으로부터 오늘날 '나일론66'라고 ... ...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이러한 현상은 아마도 이 층에 있는 암석이 앞에서 지적한 3요인중 어느 것이 만족돼
용융점
에 가까와져서 부분적인 용융이 일어난 곳일지도 모른다. 지구과학자들은 이러한 곳을 마그마의 생성장소로 생각하고 있다.그렇다면 제주도의 마그마는 적어도 1백km 이하에서 그곳의 물질이 부분적으로 ... ...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핫 스포트(hot spot)로 된 게 아닌가 보고 있다. 이것은 지각 아래의 맨틀에서 부분적으로
용융점
이 만들어져 화산폭발이 생겨났다는 이론인데, 아프리카의 화산이 여기에 속한다.아뭏든 화산이 폭발하면서 땅속 깊은 곳으로부터 용암이 분출, 원추형을 이루면서 솟아오른 게 울릉도이다. 따라서 이때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