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악령"(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과학동아 l2010년 08호
- 무지개(The serpent and the rainbow)’라는소설을 펴내기도 했다. 이 책은 1988년에 영화 ‘악령의 관’으로 제작됐다.실험으로 동물 좀비 만들었던 과학자들데이비스 박사의 연구 결과를 모든 과학자가 바로 인정했던 것은 아니다. 수많은 과학자와 의사가 그의 주장을 반박하거나 직접 실험으로확인하기를 ... ...
- PART2. 향기의 힘!어린이과학동아 l2007년 08호
- 향유를 사용한 기록이 있다. 고대인들은 향기에 신비한 힘이 있다고 믿어 종교의식에서 악령을 쫓거나 불안을 잠재우는 안정제로 사용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향냄새는 명상할 때 마음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했다. 향기는 미용과 질병 치료에도 널리 쓰여 중국 양귀비는 유혹의 무기로 향기를 ... ...
- 루브르 박물관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7년 02호
- 어둡고 무겁게 버티고 서있는 돛대에 이르면 산산이 분산된다. 먹구름은 검은 악령처럼 온통 하늘을 뒤덮고 파도는 뗏목을 금세 삼켜버릴 듯 거칠다.주어진 사명을 착실히 따르기만 했던 봉건시대의 예술가와 달리 르네상스시대의 예술가들은 과학적이고 이성적인 태도로 자연에 다가갔다. ... ...
-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인식하기 시작한 때가 2백년을 넘지 않기 때문이다. 그 전까지 정신질환자는 사탄의 악령에 사로잡히거나 영혼이 달아난 사람으로 여겨져 왔다. 정신병원이 지어진 초기만 해도 정신병원은 정신질환자를 치료하는 곳이라기보다는 사회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정신질환자를 ...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화학 - 현대화학의 초석 닦은 폴링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이 업적으로 보쉬(Carl Bosch, 1874-1940)도 1931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하지만 하버에게 악령처럼 따라다니는 사실이 있다. 바로 유대인이면서도 독일에서 태어나 1차대전 중 나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는 ‘애국자’였다는 점이다. 하버-보쉬 공정을 통해 만들어진 암모니아는 비료로도 쓰였지만, ... ...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과학동아 l2001년 09호
- 이 책의 부제를 통해 짐작할 수 있듯, 저자는 사이비과학을 인류 문화를 갉아먹는 ‘악령’이라 정의하고, 과학을 ‘어둠 속의 작은 촛불’이라고 말한다. 문학, 철학, 종교, 역사, 심리학, 인류학을 넘나드는 그의 풍부한 과학적 지식은 사이비과학이 얼마나 비과학적인지 드러내기에 충분하다. 그는 ... ...
- 마취 없이 두개골 뚫어 뇌수술과학동아 l2001년 08호
- 두개골에 구멍을 뚫었을까.아마도 두통이나 간질병 환자의 뇌에 들어 있다고 믿었던 악령을 몰아내기 위해 구멍을 냈을 것이다. 뚫려진 구멍은 대부분 둥근 모양을 하고 있으며 이때 생긴 뼈조각은 부적으로 이용됐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머리에 골절을 일으킬 수 있는 무기가 사용된 지역에서 ...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과학동아 l2001년 04호
- 그 대표적인 동물은 바로 인간의 오랜 친구인 개다. 한때 유럽에서는 개가 유령과 악령, 그리고 죽음을 볼 수 있는 힘을 가졌다고 믿었다. 우리나라에도 개가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귀신을 보고 짖는다는 속설이 있다.그런데 기대와는 달리 놀라운 후각과 청각을 가지고 있는 개는 시각이 매우 ... ...
- 쥐라기 익룡, 박쥐와 조류 어느쪽에 가까운가과학동아 l1994년 11호
- 파충류의 화석조각에 모아지고 있다.'하늘에선 민첩, 땅에서는 엉금엉금''털 많은 악령'이라는 뜻의 '소르데스 필로서스'(Sordes pilosus)라는 잘못된 학명을 가진 이 작은 익룡은 바늘같이 뾰족한 이가 나있는 날카로운 부리와, 이동에 도움이 되었을 길고 구부러지는 꼬리를 가졌다.고생물학자들은 더 ...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과학동아 l1992년 07호
- 어떻게 세웠을까 하고 몹시 궁금하였다. 동네 사람들에게 물어 보았다. 대답은 귀신이나 악령이 인간을 벌하기 위하여 세운 돌이라는 것이었다.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존스는 그 돌들을 측량하고 크기를 기록하였다. 그는 그 내용을 왕립학회에 발표하였다. 이것이 나중에 선사시대인들이 세워놓은 ... ...
이전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