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켄스탁
버캔스타
버켄
버켄스타
슬리퍼
캘빈클라인
웨지힐
d라이브러리
"
아리조나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이 망원경 400주년 우주에 눈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만들거나 다루기 어려워지지요 현재 거울로 만든 반사망원경 중 가장 큰 것은 미국
아리조나
에 있는‘대형 쌍안 망원경’으로 구경이 8.4m 예요. 현재 단일 반사경의 구경은 8m 정도가 한계랍니다.가시광선이 아닌 전파를 관측하는 전파망원경은 광학망원경보다 크게 만들 수 있어요. 전파는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노력이 계속된 결과 최근에는 매년 1만 종이 넘는 신종 생물이 발견되고 있어. 최근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학교의‘종 탐사를 위한 국제 연구소’는 지난 2006년에 새롭게 발견된 신종 생물이 1만 6969종에 달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표했지. 종류로 보면 곤충이 8995종으로 가장 많고 식물, 절지동물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한편, 레이저를 이용해 슈퍼박테리아를 죽이는 기술도 개발 중이다. 지난 2007년 미국
아리조나
주립대학교의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해 세균과 바이러스를 죽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레이저를 이용해 세균의 막에 진동을 일으켜 죽이는 것이다. 최근에는 영국 런던대학교의 연구팀이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갔다가 운좋게 살아난 사람에 대한 기록이 있다. 1905년 멕시코인 파블로 발렌시아는
아리조나
사막에서 길을 잃었다. 1주일 간 물 한모금 못마시고 사경을 헤매다가 구조됐다. 근육질이었던 그는 구조 당시 팔다리 근육이 미라처럼 말라붙었고 눈과 귀의 기능을 거의 잃었다. 입은 바짝 말라 말하지도 ... ...
공룡 번성과 몰락의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전체 육상동물의 25-60%) 크기도 좀더 다양해진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공룡이 미국
아리조나
주의 유령농장(Ghost Ranch)에서 대규모로 발견되는 작고 민첩한 육식공룡 코엘로피시스(Coelophysis)와 유럽과 중국에서 풍부하게 발견되는 원시용각류 플라테오사우루스(Plateosaurus)와 루펜고사우루스(Lufengosaurus ... ...
가장 약하지만 가장 위대한 힘, 만유인력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천왕성의 또다른 섭동은 9번째 행성인 명왕성을 발견하게 해 주었다. 명왕성은 1930년
아리조나
에 있는 로웰 천문대에서 발견됐다.만유인력의 법칙은 태양계 내에서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서로 다른 별 주위를 돌고 있는 이중성의 운동에서도 찾을 수 있다. 아주 먼 거리에서도 만유인력은 우주의 ... ...
Ⅲ 탄소형제들과의 만남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풀러렌이라는 것이 있다. 물론 양은 적지만 풀러렌이 암석 중에서도 발견된다는 사실이
아리조나
대학교의 화학교수인 호프만에 의해 밝혀지면서 각광을 받기 시작했다.풀러렌은 진공장치 속에서 강력한 레이저를 흑연에 쪼일 때 탄소들이 흑연 표면에서 떨어져 나와 새로운 결합을 이루며 ... ...
화성을 향한 인류의 짝사랑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랜드캐니언에서 비교적 가까우니 미국을 관광할 기회가 있으면
아리조나
주의 거대한 운석공과 함께 로웰천문대를 꼭 들러보기 바란다. 로웰은 그 때까지 알려진 해왕성 밖의 새로운 행성을 찾는 일에도 매우 강한 집념을 보였지만 끝내 뜻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 ...
황제나비 생체 나침반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가을철 미국 동부에서 멕시코로 2천4백마일을 항해하면서 태양을 길잡이로 삼는다.
아리조나
대학의 페레즈박사와 캔사스대학의 공동 연구자들은 나비를 깜깜한 공간에 두고 그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관찰했다.나비는 자신이 기억했던 태양의 위치와 현재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을 알고 ... ...
온두라스에 운석 떨어져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보고도 없지만, 생성된 분화구보다 크기가 무척 작을 것으로 예상된다. 약 5만년 전 미국
아리조나
북부에 떨어진 지름 54m짜리 운석은 1.2km의 분화구를 만들었고, 1908년 시베리아에 떨어졌던 90m짜리 운석은 수km나 멀리 있는 나무를 태웠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